linux(ubuntu) 듀얼부팅을 잘 쓰다가, 어느날 용량이 부족하지는 않은지 걱정이 되서 파티션을 늘리기로 했다. 윈도우는 거의 쓸 일 없으니, 내 컴퓨터의 모든 자원을 리눅스로 보내기로.
df -h .
현재 파티션의 남은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h 옵션은 human readable format으로, 읽기 쉽게 표현한 형태로 출력함.

Used는 이미 쓴 용량, Avail은 쓸 수 있는 용량을 말하는 듯 하다. Use%는 간단하게 퍼센트로 보여주는 듯하고.
Mounted on은 디렉토리 위치를 말하는것 같은데? /는 root이고, /dev는 dev 디렉토리, 이런 식.
Filesystem은 생소하다. 일단 root 디렉토리의 /dev/nvm30n1p5가 뭘 뜻하는지는 알고 싶다.
내 경우엔 62% 쓴 상태. 맘먹고 크게 할당해줬던 것 같은데 벌써 절반을 넘겼다니.
sudo fdisk -l
fdisk라는 걸 써봤는데 결국 지금 내가 보려는 파티션은 mount된 block device에 속해서, df의 내용과 같았다.

맨밑에 보이는 Linux filesystem. 이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근데 df에서 보여주면 덧나는건가..
GNU의 parted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용량을 확장해볼 생각.
sudo parted /dev/nvme0n1p5
확장하길 원하는 장치의 이름을 입력.

print로 현재 어떤 파티션이 있고 용량이 어떤지 확인할 수 있다.
지금 ext4에서 막혔고, mount에서 막혔다.

gparted를 시도해봤는데, 그냥 UI가 있는걸뿐 parted와 똑같음. 오히려 parted프로그램 내에서 명령어를 치는게 더 안전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unmount를 시키려니 겁이 나기는 한다.
ext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