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개발을 하던 중 연관관계가 아닌 테이블을 join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처음 마주하는 케이스였다.하지만 stackOverFlow에는 모든 정보가 다 있다.https://github.com/typeorm/typeorm/issues/951!\[](ht
쉽게 생각했다. 실제로 그냥 워밍업으로만 생각하고 문제를 풀어나갔다.쉬울 줄 알았으니까거만함이 하늘에 차 있었다.너무나도 당황스러웠다. 2시간이 걸렸다.어이가 없었다.하지만 당황하지 않고... 아이패드를 켜고 다시 생각을 정리하며 set을 이용하고 이차원배열을 이용해
알고리즘을 꾸준히 제대로 해보려고 한다...나는 알고리즘 초보중의 초보다꾸준히 해서 1년 안에 고수 중의 고수가 되고싶다.꾸준히라는 것이 가장 어렵기 때문에 꾸준히만 하면 고수가 될 수 있다!!가보자!!!!!!!!!!!
글을 작성해야지 작성해야지 하다가 바쁘다는 핑계로 미루다가 드디어 작성해본다. 회사에서 이제 처음 NestJS를 도입하고 typeorm 관련되어 새로운 시도를 매일 하고 안되는 부분을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 중 첫번째로 내가 공유해보려고 하는 것은 테이블 간의
swagger 관련 대표적인 decorator에 대한 설명입니다.API에서 주고 받을 모델에 대한 명세를 swagger docs에 작성할 수 있다.exampleexample property를 통해 모델의 property에 대한 예시값을 보여준다.descriptionde
개발자가 REST 웹 서비스를 설계, 빌드, 문서화, 소비하는 일을 도와주는 대형 도구 생태계의 지원을 받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스웨거 UI 도구를 통해 스웨거를 식별하며 스웨거 툴셋에는 자동화된 문서화, 코드 생성, 테스트 케이스
typeorm의 버전이 0.3.x 로 올라가면서 0.2와는 너무나도 다른 많은 변경들이 생겼다. 이것은 혼란 그 잡채였다.기존 0.2 버전에서는 @EntityRepository를 이용해서 커스텀 레포지토리를 만들어서 쓸 수 있었다면 0.3버전에서는 @EntityRepo
nestjs와 뗴려야 뗼 수 없는 사이인 typeorm을 설치하다가 발생하는 에러에 대하여 적어보려 한다.우선 현재 nestjs의 버전은 최신 버전은 (현재기준) 9.1.4 버전이다. 이 버전에서 typeorm을 설치하면 0.3.0 버전으로 설치가 된다. 하지만 나는
강의를 듣던 도중 repository 에러로 반나절을 날려먹었다.삽질의 연속이었다.버전을 낮춰보기도 하고 강의의 소스코드를 비교해서 틀린그림찾기도 엄청 했었다.하지만 해결하지 못했었다. 찾던 도중 nestjs doc의 database Typeorm 편을 찾게 되었다.역
docker 알뜰하게 사용하기 많은 강의들을 보면 DB연동해서 CRUD를 하는 것은 아주아주 많이 나와있다. 그럴때마다 DB 혹은 DB 관리 페이지를 직접 사이트에 가서 설치하는 것은 내 개인적인 생각으론 귀찮은 짓이었다. 하지만 Docker라는 신문물을 접한 뒤론 사
신규 서비스 런칭을 위하여 이번엔 프레임워크를 알아보았다.우선 기존의 서비스는 nodejs + express 였다. 일단 nodejs+expres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여 압도적인 1위를 하고 있다.하지만 현재 우리의 기존 서비스는 nodejs + express 만 사
오늘은... docker hub에 나의 이미지를 넣는 것을 해보겠다. docker hub에 이미지를 push하는 것은 매우매우 쉬운 일이다. (쉬운일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쉬워쉬워 쉬워쉬워 숴숴숴숴) It's very easy to Me. 우선 그동안의 시리즈 게시
azure 인스턴스 생성 후 docker를 설치해보려고 한다.ubuntu환경에서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입력하여 docker를 설치한다.구로묜 위와 같이 permission denied라는 권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아래와 같이 해결하면 된다.위와 같이 발생하는 경우는
azure vm 환경에서 docker를 띄워보기 위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해 보았다.우선 리소스 그룹을 먼저 만들었다.이름, 영역 정하고 검토+만들기 버튼 클릭하면 생성된다.리소스 그룹 지정하고 이름 입력하고 지역 선택한다.!홈> 가상 네트워크 > 가상네트워크 생성에 들어
후....window에서는 잘되던 docker image build가 mac에서 갑자기 되지 않았다.python error라고 하는데 처음 보는 에러였다. 좀 찾아보니 docker node alpine 버전을 사용하려고 할 때 자주 발생하는 것 같았다. mac 환경에서
비동기 이벤트 기반구조의 경량 웹 서버이다.HTTP와 리버스 프록시, IMAP/POP3 등의 서버 구동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았을 때 요청에 맞는 정적파일을 응답해주는 HTTP web server로 활용되기도 하고, Reverse Proxy Server
현재 A 서비스는 따로 docker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지 않는데...이거를 차근차근 docker화 시키고 compose화 시키고 CI/CD TOOL도 붙이는 것이 1차 목표이다. 2차 목표는 설계한 환경을 그대로 쿠버네티스 환경으로 이식하는 것이다. 이것을 해보면 첫
다사다난했던 8월을 마치고 새로운 도약을 꿈꿔보는 가운데 블로그도 시작해보려고 한다. 회사가 새로운 사업 계획을 짜고 새로 인프라구축 및 개발 환경구축을 하려고 하는 가운데 기본기를 다지기 위해 공부를 해보려고 한다. 내가 공부하고 싶은 순서는 일단 [모던 자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