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일 자바의 정석 Study

최재유·2023년 1월 2일
0

변수

  • 값을 저장해 둘 공간이 필요한데 그 공간을 변수(variable)라고 한다.
  • 하나의 값을 저장할수 있는 저장공간

상수

  •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 할수있는 공간인데 한번 선언하면 다른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 변수의 키워드 앞에 final을 붙혀주면 된다.
  •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는것이 관례이며 여러단어로 이루어져있을경우
    _로 표기한다.

리터럴

  • 리터럴은 단지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상수의 다른 이름일 뿐

기본 자료형의 종류와 크기

  • 1Byte : boolean(논리형), byte(정수형)
  • 2Byte : char(문자형), short(정수형)
  • 4Byte : int(정수형), float(실수형)
  • 8Byte : long(정수형), double(실수형)

오버플로우

  • 타입이 표현할수 있는 값의 범위를 넘어서는것
  • 최대값에 +1 을 하면 최소값이 되고 최소값에 -1을 하면 최대값이 된다.

자바에서 "" 는 문자열이고 ''는 문자

System.out.print('A'+1); // 66
System.out.print('A'+'B'); // 131
System.out.print('1'+1); //50 '1'이 49이기때문
System.out.print('1'+'2'); // 99
"A" + 'B' // AB 왜냐하면 문자열 이랑 더하면 문자열 이되기때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