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 모델을 사용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데이터베이스 설계, ER모델을 사용한 개념적 모델링, ER스키마를 관계데이터베이스 스키마로 변환

juyoung·2021년 7월 20일
0

[DataBase]

목록 보기
3/4

ER 모델을 사용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설계, ER모델을 사용한 개념적 모델링, ER스키마를 관계데이터베이스 스키마로 변환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개념적 설계와 물리적 설계로 구분.
개념적 설계 과정에서 엔티티, 관계, 제약조건등을 나타내는 모델링 과정을 거침. Entity-Relationship 모델(ER모델)이 널리 사용됨.
물리적 설계과정에서 물리적인 저장장치인 디스크와 접근방식(access path; 인덱스) 등을 다룬다.

ER모델을 사용한 개념적 모델링

엔티티: 실세계의 객체. ER다이어그램에서 엔티티타입은 직사각형으로 나타냄.
관계: 엔티티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는 ER다이어그램에서 다이아몬드로 나타냄.

ER스키마를 관계데이터베이스 스키마로 변환

개념적 설계단계에서 생성한 ER모델을 논리적 설계단계에서 관계 모델로 변환

ER모델을 관계 모델로 변환하는 7단계의 알고리즘

  1. 정규 엔티티의 변환
    : E-R 다이어그램의 각 엔티티를 하나의 릴레이션으로 변환한다.
  2. week 엔티티의 변환
    : E-R 다이어그램의 각 엔티티를 하나의 릴레이션으로 변환한다.
    : 소유 엔티티의 기본키를 약한 엔티티의 외래키로 포함시킨다. (약한 엔티티: 키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속성들을 갖니 못한 엔티티)
    : relation의 기본키는 새로 삽입된 외래키와 기존의 부분키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3. 1:1 관계의 변환

  4. 1:N관계의 변환
    : 1측의 기본키를 N측의 외래키로 포함시킨다.
  5. M:N 관계의 변환
  6. 3진 이상 관계의 변환
  7. MVA의 변환
    : MVA;multi-valued attribute; 다치속성
    : 각 다치속성에 대하여 relation을 생성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