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웹을 배포해본 적이 있다면 SSL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SSL이 적용된 URL의 프로토콜은 https://로 시작하며, http://와 달리 보안을 의미하는 s가 붙는다. 현재 velog도 ssl이 적용된 걸 확인할 수 있다. SSL? SSL은 Secure Socket Layer의 약자로, 직역하면 암호화 소켓층이다. SSL은 웹 ...
BigDecimal? BigDecimal은 Java 언어에서 숫자를 정밀하게 저장하고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 소수점을 저장할 수 있는 가장 크기가 큰 타입인 double은 소수점의 정밀도에 있어 한계가 있어 유실될 수 있다. Java 언어에서 돈과 소수점을 다룬다면 BigDecimal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현재 핀테크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라 알아보...
이전 Docker image 삭제 > 이전 방식대로하면 docker image가 계속 쌓일 것이다.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차지하는 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필요없는 image들은 삭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분을 execute shell의 docker 새로운 이미지를 pull하고 run한 단계 이후에 실행하면 된다.
Jenkins 접속 > Jenkins가 잘 실행되었다면 본인URL:8080으로 접속하면 jenkins 화면이 나올 것이다. >Administrator password는 호스트 pc에서 실행중인 jenkins container를 docker logs [container_id]를 실행해 보았을 때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권장 설정인 Install su...
지난 시간에 Jenkins를 직접 시스템에서 실행을 시켰다. 이번에 Docker container에서 Jenkins를 실행하는 방법을 실행하겠다.장점:1\. 초기 설정이 간단하다.2\. 시스템 리소스를 Docker 오버헤드 없이 직접 사용한다.단점:1\. Jenkins
Docker-compose란? > 여러 개의 컨테이너로부터 이루어진 서비스를 구축, 실행하는 순서를 자동으로 하여, 관리를 간단히하는 기능이다. > compose파일을 준비하여 커맨드를 1회 실행하는 것으로, 그 파일로부터 설정을 읽어들여 모든 컨테이너 서비스를 실
React 프론트를 nginx에 올려야하는 이유 > nginx가 event-driven 방식으로 트랜잭션을 처리한다. 동시접속자가 많아도 적절히 처리가 가능. react production 파일이 static 파일이다. 클라이언트 렌더링으로는 sub-url로 바로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