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 배열은 길이를 정하여 선언하므로 사용 중 부족한 경우 다른 배열로 복사하는 코드를 직접 구현해야 한다.
- 중간의 요소가 삭제되거나 삽입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요소에 대한 조정하는 코드를 구현해야 한다.
- ArrayList 클래스는 자바에서 제공되는 객체 배열이 구현된 클래스
- 여러 메서드와 속성 등을 사용하여 객체 배열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import java.util.ArrayList;
ArrayList<자료형> 변수명 = new ArrayList<자료형>();
ArratList 쓴 다음에
ctrl+shift+o 누르면 자동으로 import 해줌
public class ArrayList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String>(); //<String> 생략 가능(어떤 타입인지 정하지 않아도 됨) but 요소 가져다 변수에 넣는 등 할때 타입을 케스팅 해줘야 함.
// ㄴ> 어지간하면 타입 정해서 쓸거임.
list.add("aaa");
list.add("bbb");
list.add("ccc");
for(int i=0; i<list.size(); i++) {
String s = (String)list.get(i); // 위 ArrayList선언에서 <String>을 안쓰면 내부적으로 값이 object로 되어 있어 list.get 앞에 (String)으로 케스팅을 해줘야 함.
//ㄴ> Arraylist에서는 index연산자를 제공하지 않기 떄문에 list(i) 하면 오류남. get 써줘야 함.
}
}
}
메서드 | 설명 |
---|---|
boolean add(E e) | 요소 하나를 배열에 추가한다. E는 요소의 자료형을 의미한다. |
int size() | 배열에 추가된 요소 전체 개수를 반환한다. |
E get(int index) | 배열의 index 위치에 있는 요소 값을 반환한다. |
E remove(int index) | 배열의 index 위치에 있는 요소 값을 제거하고 그 값을 반환한다. |
boolean isEmpty() | 배열이 비어있는지 확인한다. |
요소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때, 각 내부에서 코드가 모두 구현되어 있으므로 배열을 직접 선언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편리함
위에 표로 정리된 주요 메서드는 자주 사용되는 메서드이며, eclipse에서 F1 키를 눌러서 아래와 같이 다양한 메서드를 확인할 수 있다.
ArrayList<E> 배열 이름 = new ArrayList<E>();
사용할 객체를 E 위치에 넣고 ArrayList메서드를 활용하여 추가하거나 참조 할 수 있음.
package array;
import java.util.ArrayList; // ctrl+shift+o 누르면 자동으로 추가
public class BookArra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Book> library = new ArrayList<Book>();
//ㄴ> ArrayList 선언
library.add(new Book("태백산맥", "조정래"));
library.add(new Book("데미안", "헤르만 헤세"));
library.add(new Book("어떻게 살 것인가", "유시민"));
library.add(new Book("토지", "박경리"));
library.add(new Book("어린왕지", "생텍쥐페리"));
//ㄴ> add() 메서드로 요소 값 추가
for(int i=0; i<library.size(); i++) {
Book book = library.get(i);
book.showBookInfo();
//ㄴ> 배열에 추가된 요소 개수만큼 출력
}
}
}
위 코드는 [객체 배열 사용하기]에서 Book 클래스를 이용하여 객체 배열을 만들었던 예제를 ArrayList에 담아본 예시다.
Subject 클래스는 과목명과 점수를 private 멤버변수로 갖고 있고, get/set 메서드를 생성하였다.
Subject 클래스
package arrayList;
public class Subject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scorePoint;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int getScorePoint() {
return scorePoint;
}
public void setScorePoint(int scorePoint) {
this.scorePoint = scorePoint;
}
}
Student 클래스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Student {
private static int serialNumber = 1000;
private int studentID;
private String studentName;
private ArrayList<Subject> subjectList;
public Student(String studentName) {
serialNumber++;
studentID = serialNumber;
this.studentName = studentName;
subjectList = new ArrayList<Subject>();
}
public void addSubject(String name, int score) {
Subject subject = new Subject();
subject.setName(name);
subject.setScorePoint(score);
subjectList.add(subject);
}
public void showStudentInfo() {
int total = 0;
for(Subject subject : subjectList) {
total += subject.getScorePoint();
System.out.println(studentName + "님의 " + subject.getName() + " 점수는 " + subject.getScorePoint() + "점 입니다.");
}
System.out.println(studentID + "님의 평균 점수는 " + ((float)total / subjectList.size()) + "점 입니다.");
}
//ㄴ> 평균값 소숫점 보기 위해 (float) 추가
}
main 클래스
package arraylist;
public class Student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 studentLee = new Student("Lee");
studentLee.addSubject("국어", 100);
studentLee.addSubject("수학", 90);
studentLee.showStudentInfo();
System.out.println("======================");
Student studentKim = new Student("Kim");
studentKim.addSubject("국어", 100);
studentKim.addSubject("수학", 90);
studentKim.addSubject("영어", 80);
studentKim.addSubject("사회", 88);
studentKim.addSubject("과학", 99);
studentKim.addSubject("과학", 99);
studentKim.showStudentInfo();
//나중에 중복되는 과목 없애는거 만들어보면 재밌을듯
}
}
main() 에서 studentLee와 studentKim 을 생성하여 각자 과목과 점수를 넣어주었다.
과목의 수를 다르게 하여 평균을 출력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showStudentInfo에서 (float)빼면 소숫점 자리 버림.
studentKim 평균이 92점으로 출력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