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에게 블로그란?
비트는 컴퓨터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최소 단위'를 말합니다. 바이트는 컴퓨터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합니다. bit는 'binary digit'의 약자, 즉 이진수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1비트는 0, 1 두가지 경우의 정보를 저장할
SI는 10의 3승을 기준으로 b, mb, kb, gb...를 표시한다IEC는 2의 10승(1024)을 기준으로 bi, mi, ki, gi...를 표시한다.우리가 구매한 노트북이 표기된 저장용량과 실제가 다르게 표기되어 있는 것은 여기에 있다. 판매자는 SI기준을 따르
api요청 보내는 컴포넌트마다 중복되는 코드가 많아서,이를 훅으로 만들어 해결하려고 했다.response가 반환된 이후의 작업까지 fetchApi의 인자로 넘겨서 처리하도록 하면 훅을 호출한 컴포넌트에서 useEffect의 중복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았다.
리액트로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의존성 배열안에 어떤 값들을 추가하라는 문구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그 가운데는 navigate, dispatch처럼 그 자체로는 변할 일이 없는 객체까지 넣으라고 하는는 점이 궁금했다. 왜일까?navigate 및 dispatch 값은 가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