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리소스를 주고 받기 위해 정한 통신 규약.
"통합 자원 식별자". 서버의 리소스를 식별하기 위한 이름.
URL
http://www.naver.com/index.html //네이버 홈페이지의 URL
urn:ietf:rfc:2141
인터넷은 수많은 데이터 타입을 다루기 때문에, 웹에서 주고받는 객체 각각에 MIME 타입이라는 데이터 포맷 라벨을 붙인다. 원래 각기 다른 전자메일 시스템에서 메시지가 오갈 때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메일에서 워낙 잘 작동했기 때문에, http에서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기술하고 라벨링하기 위해 채택되었다.
예시)
content-type : imgae/jpeg <-- MIME 타입
URL
http://207.200.83.29:80/index.html
http://www.naver.com:80/index.html
http://www.naver.com/index.html
1) 브라우저는 www.naver.com(URL)에서 호스트 명을 추출한다.
2) 호스트명을 ip로 변환한다.
3) URL에서 포트번호를 추출한다. (없다면 80)
4) 웹 브라우저는 앞서 얻은 ip주소와 포트번호를 가지고, 웹 서버와 TCP커넥션을 맺는다.
5) 웹 브라우저는 서버에 http요청을 보낸다.
6) 서버는 웹 브라우저에 http응답객체를 돌려보낸다.
7) 커넥션이 닫히면 웹브라우저는 화면에 html 및 기타 리소스(css, js 등)를 랜더링 시작한다.
8) 페이지에 추가 리소스(예: 이미지, 비디오 또는 기타 파일)가 포함된 경우, 브라우저는 추가 HTTP 요청을 실행하여 리소스를 검색합니다.
9) 모든 리소스가 검색되고 페이지 렌더링이 완료되면 브라우저는 사용자에게 최종 결과를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