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e와 리펙토링 누구도 이해하지 못하는 response 프로젝트의 기능을 테스트까지 간단하게 끝내고 난 후에 "내 서버는 완벽해!" 라고 생각하며 프론트엔드 쪽을 보고 있었다. 그런데 프론트에서 자꾸 500 error로 응답이 가는 현상을 발견했다. 분명히 들어온 값이 잘못 들어왔는데 서버 문제라고 하니 골치가 아팠다. 또한, 서버에서 들어...
웬만한 사이트들은 회원을 관리하기 위해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이 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가 이용한 회원 관리와 인증을 설명하고자 한다.앞전에 배웠던 로그인 기능으로 세가지가 있다. 1\. passportJS로 로그인을 한다. 2\. JWT를 발급하여 로그인한다
이후부터는 API 구현 전략과 그에 맞는 기능을 설명할 것이며, MVC패턴으로 프로젝트를 어떻게 구조화했는지 설명하고자 한다.입력한 이메일이 중복되는지 확인random 코드 생성 (ascii code를 사용하여 6자리 뽑기)입력한 이메일로 메일을 전송보낸 코드와 서버의
드디어 첫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이 프로젝트 전에 미니 프로젝트 하나를 팀원 한분과 작업했었는데 도중에 정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라해서 미니 프로젝트를 미뤄두었다.처음에는 둘 다 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막상 진행을 다 해보니 GitHub부터 마지막에 구현한 S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