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1\. 자바스크립트란?2\. 개발 환경3\. 기본 문법4\. 데이터 타입 & 변수5\. 연산자6\. 제어문7\. 객체 - property + method8\. 함수9\. 스코프10\. 실행 컨텍스트11\. 클로저12\. ES6 추가 기능13\. Number
이전 수업에서 추가적인 내용변수에 null을 할당하면 null이 메모리를 차지하나, 가비지 컬렉터가 작동할 때 우선적으로 메모리를 해제한다고 한다.단어 전체 수정 : Ctrl + Shift + L필기 내용<표기법>JavaScript에서는 camelCase와 sna
** 객체를 변경하는 코드(delete 연산자, Object.key = value ...)가 console.log()보다 우선적으로 실행되는 상황 : 객체 로딩 시에 객체의 내용 변경사항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기 때문! -> 객체의 상태를 줄마다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난 수업과 추가 내용 요구사항에 맞는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요구사항을 잘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 -> 코테뿐만 아니라 고객의 요구사항을 잘 이해하여 프로그래밍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식별자 : 원하는 값을 식별해주는 역할. (변수 이름, 함수 이름...)
이전 수업 & 추가 내용 생성자 함수의 리턴값은 this이므로 함수 몸체에 리턴값을 넣을 필요가 없다. 암묵적 변환 : JavaScript의 메소드 중 인수에 string을 넣어도 숫자값이면 저절로 타입이 바뀐다. 내부 메소드 실행 순서는 앞에서부터! (ex. s
필기 내용<배열>메소드 정리 :\-- push(), pop() = 파괴적 메소드이며, 리턴은 해당 인자를 인덱스로 하는 요소이다. \-- unshift() = 배열 앞에 해당 인자들을 추가시키고 배열 길이를 리턴\-- shift() = 배열의 첫번째 요소를 삭제하
이전 수업 & 수업 외 추가 내용Ctrl + K + C : 드래그 주석 처리 (슬래시) / Ctrl + K + U : 주석 해제setTimeout(callback, millisecond, parameter) : 파라미터가 있으면 콜백에 파라미터를 넣어 사용한다.<
이전수업 & 추가내용 INSERT문에서 한 구문에 여러 값을 추가하려면 VALUES에 (),(),()....이런식으로 추가가 가능하다! java -> spring framework / python -> fastAPI framework > 필기 내용 ** 자료형
추가 내용 목차 운영체제 네트워크 리눅스 데이터베이스 > 필기 내용 ** x86 : IBM PC 80386버전이 초기버전 -> 32비트 CLI : Command Line Interface (컴퓨터와의 상호작용 환경 ex. power shell) / G
추가내용커미션 디나이 : 권한 없음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원하는 폴더에서 cmd창 여는법 : 해당 경로에 들어가서 검색에 cmd를 치면 해당 경로에서 cmd가 열림.필기 내용<연산자>조건식 IS boolean_value : 논리 연산!= 연산자는 f
📌 필기내용 Docker Docker? : 공동작업을 할때 사용하는 네트워크?로 이해했음. > 콘솔 명령어 docker images : docker의 이미지 확인 docker run -dit -p 주소 --name 이름 이미지이름 : docker 생성 및 시작
오늘부터는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한다.프로젝트라 해서 별건 아니고 요구사항분석 및 스키마 생성, ER-diagram, psql로 DB 생성 등...이다.저번 JS에서도 미니 프로젝트를 했었는데, 필수조건을 제대로 인지하고 있지 않아 빼놓은 조건이 있었다. 이번에는 필요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상대적인 것 -> 누구나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음.서버의 부하 : 많은 요청에 대해 서버가 처리하면서 부하가 걸림스케일업(수직스케일링) : 서버의 사양을 높이는 방법스케일아웃(수
global\_\_filename : 현재파일 경로 + 이름\_\_dirname : 현재폴더 경로 + 이름process : 현재 작동하는 nodeJS의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ex. 버전, 업타임...)process.nextTick() : 가장 우선적으로 실행되는 프로
nodeJS의 이벤트 루프 내에서 어떤 트리거가 작동하면 발생하는 함수(?)event.on(name, callback) : name 이벤트 생성event.emit(name) : name 이벤트 발생 (비어있으면 false로 뜸)event.once(name, callba
REPL이란? : 읽고(Read), 해석하고(Eval), 출력하고(Print)를 반복한다(Loop)는 nodeJS의 실행 방식!filename, dirname : 현재 파일, 현재 폴더를 나타냄모듈화 : 길어지는 코드를 분할하는 방식모듈 설정하는 방법: (모듈이 되는
웹페이지의 모듈로, 서버를 만들어 처리할 수 있음.: request로 요청을 받아오고, response로 응답을 처리해준다.req.method : 요청 방법(REST)에 대한 값. 비교하여 처리req.url : 요청하는 데이터의 url(key값)을 받아 각 url 별로
필기 저장할 값을 객체로 저장하는가 배열로 저장하는가 : 객체는 유일한 key값을 가지므로 같은 key값을 가지는 객체를 저장하려하면 값이 수정된다. -> 중복된 key값으로 저장하고 싶다면 배열 안에 객체를 넣는 방법이 효율적인 방법이다. query stri
Mac에서 DB연동하느라 꼬박 이틀을 썼다...밀린 수업 따라가랴, 프로젝트랑 시험 보랴 블로그 올릴 시간이 없었다.이번에 express 프레임워크를 하면서 백엔드 개발에 관심이 생겼다.(이해하는 것도, 직접 구현해보는 것도 정말 어려웠지만...ㅎㅎ)이제부터는 백엔드
우선 사용할 DB를 정해준다. 나같은 경우는 mySQL을 사용하였다.이후에 sequeilze 모듈을 설치하고 초기 설정을 해준다.npx를 하면 여러 폴더들이 생성될 것이다. 우리는 초기 설정을 위해 config와 models를 살펴볼 것이다.config에서는 devel
npm으로 다운받은 cookie-parser와 express-session으로 열심히 쿠키와 세션을 만들었다. 그것들로 로그인 구현을 하려니 신경을 쓸 것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session의 만료 기한과 로그아웃을 했을 때만 고려해보아도 추가로 구현할 부분이 많았다
영어랑 한글 tptkddp 000812
필기 내용 Vue API 공식 문서 필요한 API를 직접 찾아보는 습관을 길러보자. 여러가지 갖다 써보면서 익히는게 좋을 것 같다. https://v3.router.vuejs.org/kr/api/#router-link 라우팅하는 방법 views에 vue 파일 생성
실습 도중에 입력 값을 테이블에 삽입하는 예제가 있었다.JS와는 달리 v-model로 바인딩한 변수가 input이 바뀔 때 마다 테이블에 실시간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하였다.이는 v-model의 데이터 바인딩이 양방향 바인딩이기 때문이다.양방향 바인딩에 대한 링크편리하긴
Json Web Token의 약자로, 토큰으로 웹서버로의 요청을 인증받는 하나의 인증 방식이다.이전에 우리가 다루었던 cookie & session 로그인 방식은 인증 요청을 할 때마다 세션DB에 있는 사용자 정보를 조회해야 했다.그러나 jwt는 모든 요청에 같이 보내
git은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 중의 하나이다.프로젝트를 계속 수정함에 있어서 수정하기 이전의 버전을 관리하는 일은 중요하다. 가령, 잘못된 수정으로 이전에 작업하던 환경으로 되돌려야 하는데 버전 관리가 되어있지 않다면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 될 것이
이번 프로젝트는 iot를 이용하여 세콤같은 안전 잠금장치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라즈베리파이와 서버(frontend)의 실시간 통신이 필요했다.기존에 사용해보았던 socket 통신으로 구현이 가능할 것 같기도 했지만 이번엔 mqtt를 사용해보고자 했다.MQTT(
드디어 첫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이 프로젝트 전에 미니 프로젝트 하나를 팀원 한분과 작업했었는데 도중에 정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라해서 미니 프로젝트를 미뤄두었다.처음에는 둘 다 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막상 진행을 다 해보니 GitHub부터 마지막에 구현한 Sock
이후부터는 API 구현 전략과 그에 맞는 기능을 설명할 것이며, MVC패턴으로 프로젝트를 어떻게 구조화했는지 설명하고자 한다.입력한 이메일이 중복되는지 확인random 코드 생성 (ascii code를 사용하여 6자리 뽑기)입력한 이메일로 메일을 전송보낸 코드와 서버의
response와 리펙토링 누구도 이해하지 못하는 response 프로젝트의 기능을 테스트까지 간단하게 끝내고 난 후에 "내 서버는 완벽해!" 라고 생각하며 프론트엔드 쪽을 보고 있었다. 그런데 프론트에서 자꾸 500 error로 응답이 가는 현상을 발견했다. 분
웬만한 사이트들은 회원을 관리하기 위해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이 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가 이용한 회원 관리와 인증을 설명하고자 한다.앞전에 배웠던 로그인 기능으로 세가지가 있다. 1\. passportJS로 로그인을 한다. 2\. JWT를 발급하여 로그인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지금까지 배운 내용들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다. 에듀키트를 주축으로 사용자가 3D로 기계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주제이다.나는 nodeJS로 서버를 구현하여 DB를 관리하고 사용 기록을 관리하는 일을 맡았다. 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