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를 이용한 서버 사이드 템플릿 엔진입니다.
1998년 마이크로스프트에서 ASP(Active Server Page)라는 웹 개발 스크립트 엔진을 발표했는데 이는 1997년에 발표된 Servlet보다 상대적으로 편한 개발 환경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썬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1999년 JSP를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JSP에는 선언문(Declaration), 스크립트릿(Scriptlet), 표현식(Expression)이라는 3개의 스크립트 요소를 제공합니다.
<%! %>
전역변수 선언 및 메소드 선언에 사용됩니다.
<%!
String id = "u001";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
</body>
</html>
<%= %>
화면에 출력할 내용 기술에 사용됩니다.
출력할 부분을 내장객체인 out
객체의 print()
또는 println()
메소드를 사용해 출력합니다.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id : <%= getId() %>
<%!
String id = "u001";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
</body>
</html>
해당 파일을 실행시키면 id: u001
이라고 적힌 페이지가 등장합니다.
<% %>
프로그래밍 코드 기술에 사용됩니다.
스크립트릿에서 선언된 변수는 지역변수입니다.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
for(int i = 1; i <=5; i++){
%>
<h<%=i %>>아름다운 한글</h<%=i %>>
<%
}
%>
</body>
</html>
해당 파일을 실행시키면 h1
태그부터 h5
태그까지 순차적으로 아름다운 한글
이라는 문구가 출력됩니다.
JSP파일에서는 JSP의 주석, html의 주석, java의 주석이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결과로 나온 페이지에서 소스를 보면 html의 주석만 보이게 되는데
jsp파일이 실행되면 jsp엔진은 jsp주석을 주석이라 인지하고 jsp주석을 제외한 java주석과 html주석은 그대로 보내게됩니다.
이후 java로 넘어온 java주석과 html주석은 java가 java주석을 인지하고 html주석만 보내게됩니다.
이후 html페이지로 넘어온 html 주석은 html이 주석이라 인지하기 때문에 해당 주석을 제외한 다른 부분들을 화면에 보여주게 됩니다.
3개의 주석이 사용가능하지만 각각 주석이라 인지하는 부분이 다르다는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