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EC2에 도커 컨테이너를 띄울 것이다. pem키가 있는 폴더에서 Git Bash를 열어준다 (termius로 ubuntu환경에서 하다가 이상한 경고가 계속 떠서 Bash로 변경하였다.) 으로 접속해준다. 이 후 Gradle 설치까지는 우분투와 동일하니 생략
Dockerfile을 만들어준다.이때 주의할점은 아래의 옵션들이다. usermod -u {호스트의사용자아이디} groupmod -g {호스트의 도커 그룹 아이디}ubuntu host에서 호스트의 사용자 아이디를 가져오려면 id -u 명령어를 활용하고, 도커 그룹 아이디
System 클릭project or personal발급한 access token을 password로 사용할 것이다.다시 jenkins로 돌아가자.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해서 create
GitLab, Gradle 추가 설치 후 재시작한다.소스 코드 관리는 Git으로 하고 해당 프로젝트 URL과 Credential을 선택한다.바로 아래 어떤 브랜치에서 Integration시킬지 결정빌드 유발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이 때 Gradle version이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