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류 | 변수의 타입 | 설명 |
|---|---|---|
| 숫자 | int | 정수(integer)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 |
| long | 정수(integer)타입, 20억이 넘을 때 | |
| float | 실수(floating-point number)타입 / float는 오차 없이 7자리 | |
| double | 실수타입 / 15자리 | |
| 문자 | char | 문자(character)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 |
| String | 여러문자(문자열,string)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 |
int x = 100; //정수(integer)를 저장할 변수의 타입
douvle pi = 3.14; //실수를 저장할 변수의 타입
char ch = 'a'; //문자(1개)를 저장할 변수의 타입
String str = "abc"; //여러문자(0~n개)를 저장할 변수의 타입
상수
final을 붙임final int MAX_VALUE; //정수형 상수 MAX_VALUE를 선언
MAX_VALUE = 100; //상수에 처음으로 값 저장
MAX_VELUE = 200; //에러. 상수에 저장된 값을 변경 불가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는 것이 관례이며, 여러 단어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_로 구분
리터럴(literal)
리터럴이라는 용어를 사용변수(variable)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상수(constant) 값을 한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리터럴(literal)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int year(변수) = 2014(리터럴);
final int MAX_VALUE(상수) = 100(리터럴);
| 종류 | 리터럴 | 접미사 |
|---|---|---|
| 논리형 | false, true | 없음 |
| 정수형 | 123, 0b0101, 077, 0xFF, 100L | L |
| 실수형 | 3.14, 3.0e8, 1.4f, 0x1.0p-1 | f, d |
| 문자형 | 'A', '1', '\n' | 없음 |
| 문자열 | "ABC", "123", "A", "true" | 없음 |
접미사 혹은 접두사를 붙여 타입 구분📍 long 타입의 리터럴에 접미사 l 또는 L 을 붙이고, 접미사가 없으면 int 타입의 리터럴임
📍 10진수 외에도 2, 8, 10 진수로 표현된 리터럴을 변수에 저장할 수 이으며, 16진수 표시는 리터럴 앞에 접두사 0x 또는 0X, 8진수 표시는 0표시
int octNum = 010; //8진수 10, 10진수로 8
int hexNum = 0x10; //16진수 10, 10진수로 16
📍 정수형 리터럴의 중간에 구분자 _ 사용하여 큰 숫자 가독성이 편리
long big = 100_100_000_000L;
long hex = 0xFFFF_FFFF_FFFF_FFFF;
📍 실수형에서는 float 타입의 리터럴에 접미사 f 또는 F 붙이고, double 타입은 접미사 d 또는 D 를 붙임
float pi = 3.14f; //접미사 f 대신 F 사용 가능. 생략불가
double rate = 1.618d; //접미사 d 대신 D 사용 가능. 생략가능
💡 정수형에서는 int가 기본자료형(접미사 없음)
💡 실수형에서는 double가 기본자료형('d'생략가능)
💡 접미사 f와 d는 기억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