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램에서 조건에 따라 다른 기능들이 다른 순서에 따라서 실행되도록 만들어주는 것
if(document.querySelector('#night_day').value === 'night') {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backgroundColor = 'black';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color = 'white';
  document.querySelector('#night_day').value = 'day';
}
else {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backgroundColor = 'white';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color = 'black';
  document.querySelector('#night_day').value = 'night';
}
===: 이항 연산자로 좌우가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 이항 연산자로 좌우의 값을 비교하여 식이 옳으면 True, 옳지 않으면 False<와 &rt;를 쓴다.: 비효율적인 코드를 효율적으로 만들어서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가 쉽도록 만드는 것, 코드의 기능적인 측면에는 변화가 없어야 한다.
this: 자기 자신을 가리키기 위한 키워드var target = document.querySelector('body');
if(this.value === 'night') {
  target.style.backgroundColor = 'black';
  target.style.color = 'white';
  this.value = 'day';
}
else {
  target.style.backgroundColor = 'white';
  target.style.color = 'black';
  this.value = 'night';
}
var fruits = ["apple", "banana"];
document.write(fruits[0]); // 배열의 값에 접근
document.write(fruits.length); // 배열의 길이 출력, 이 경우에는 2
fruits.push("coconut"); // 배열의 맨 뒤에 값 추가
fruits.splice("잘라낼 시작 위치", "제거할 원소 개수(생략가능)", "치환할 내용(생략가능)");
var i = 0;
while (i < fruits.length) {
  document.write('<li>'+fruits[i]+'</li>');
  i = i + 1;
}
querySelectorAll이 찾은 모든 a 태그를 배열 형태로 alist에 저장
var alist = document.querySelectorAll('a');
문서 안의 모든 a 태그의 색깔을 powderblue로 변경
var i = 0;
while (i < alist.length) {
  alist[i].style.color = 'powderblue';
  i = i + 1;
}
+) console.log();를 콘솔 창에서 쓰면 괄호 안이 가리키는 값이 콘솔 창에 출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