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RPA란?
RPA란 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약자로 사람이 처리하는 단순 반복 업무를 자동화 해 빠르고 정밀하게 수행하는 자동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에 RPA를 활용하면 업무 처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업무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산출물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어 많은 기업들이 선호하고 있다.
즉, RPA는 사람의 업무를 컴퓨터가 대신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 RPA 활용 사례
KT
Article: "年업무시간 9만시간 단축"…KT 업무혁신, 세계서도 인정받아
- KT는 업무혁신 프로젝트 '워크 이노베이션'의 성과를 인정받아 글로벌 IT 시장분석기관 IDC의 '2022년 IDC 퓨처엔터프라이즈 어워드'에서 '미래의 업무(Future of Work)' 부문 수상사로 선정됐다.
- KT의 대표적인 업무혁신 서비스인 '전대리'와 '마비서'는 RPA와 챗봇을 결합해 전표 처리와 복무복지 서비스를 지원한다.
- KT는 단순반복 업무를 자동화하고 모바일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전국 약 2만 2000명 임직원들의 업무시간을 연간 약 9만 시간 이상 단축하며 생산성을 끌어올렸고, 약 103억원의 비용을 줄였다.
KB국민은행
Article: KB국민은행, 240개 업무에 RPA 적용... 290만 시간절약
- KB국민은행은 로보틱 사무자동화 시스템인 '자동이(RPA)'를 현재까지 총 240개 업무에 적용하고 있다.
- RPA란 직원이 PC에서 하는 화면이동, 데이터 추출 및 입력, 사이트 접속 등의 행동을 모방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뜻한다.
- '자동이(RPA)'는 단순반복 업무를 대체하는데 주요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약 290만 시간, 직원 1인당 연간 약170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