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kube를 설치해서 K8S를 공부해보자.
https://www.docker.com/products/docker-desktop/
링크로 이동 후 다운을 받는다.
설치시 옵션이 나오는데 권장사항이니 체크된 상태로 다음 누르면 설치 진행
설치 완료 후 컴퓨터 재시작을 클릭
재부팅 후 Docker Desktop 실행, 도커 사용 서비스에 대한 동의를 선택한다.
쉽게 될 구성이 아닌가 WSL 2 설치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는 문구가 나온다.
권장사항에서 WSL을 사용한다고 체크된 항목이 문제인 듯 하다.
알림창에 표시된 kernel update 페이지를 클릭하여 절차에 따라 WSL 2 설치를 진행한다.
윈도우 powershell을 이용해 명령을 수행해야한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다운로드 후 설치
wsl --set-default-version 2
Microsoft Store에서 Linux 배포판 설치
Debian으로 난 설치 진행
설치 후 계정 정보 입력 -> 아이디, 패스워드
WSL 2 설치는 끝났다. 이제 다시 도커를 시작해보자.
트레이 아이콘 우클릭 후 restart
안된다.
맥에서는 쉽게 설치가 가능한데 윈도우는 주옥 같다... 는 생각을 하다가
혹시 몰라 재시작 후 재실행하니 잘된다. 마법의 재시작... 윈도우에서 뭔가 설치하다가 안되면 재시작을 해야한다는 습관을 들이자.
하려던 K8S 설치를 진행해보자 우측 상단에 톱니바퀴를 선택하고 Kubernetes 항목으로 이동하여 Enable Kubernetes를 선택 후 Apply & restart를 클릭
설치가 진행된다.
잠시 기다리다보니 Starting 상태바가 사라졌다. 된건가?
docker desktop 왼쪽 하단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좀 더 기술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cmd창을 열어 kubectl(설치 방법 하단 링크 참조) 명령어로 노드를 확인하면 정상 설치가 확인된다.
kubectl get nodes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