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02월을 회고해본다.
GoF의 디자인 패턴, 방문자 패턴에 대해 알아본다.
GoF의 디자인 패턴, 템플릿 메서드 패턴에 대해 알아본다.
공개키 비트코인 주소 형식에 대해 알아본다. 이는 곧 "주소"이다.
GoF의 디자인 패턴, 전략 패턴에 대해 알아본다.
GoF의 디자인 패턴, 상태 패턴에 대해 알아본다.
GoF의 디자인 패턴, 메멘토 패턴에 대해 알아본다.
GoF의 디자인 패턴, 중재자 패턴에 대해 알아본다.
서명 역시 검증을 위해 전파될 필요가 있다. 즉, 직렬화가 필요하다.
비밀키, 공개키, 서명, 그리고 검증 방법까지 알아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값을 가지고 있기만 해서는 결제라는 행위가 이루어질 수 없다. 어딘가로 보내야 한다. 그때 필요한 기술인 직렬화를 알아보자.
서명, 검증 알고리즘을 알았으니 필요한 클래스들을 작성해보자.
비트코인에서 사용하는 타원곡선은 무엇일까?
23년 01월을 회고해본다.
소수설 주창중 하나인 eXtreme Programming에 대해 알아보자.
소수설에서 태어난 다양한 주장들에 대해 알아보자.
GoF의 디자인 패턴, 반복자 패턴에 대해 알아본다.
GoF의 디자인 패턴, 해석자 패턴에 대해 알아본다.
나뉘어진 프로젝트, 따로 관리되는 프레임워크.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프레임 워크를 만들어 넣는 방법을 알아본다.
그래서 예외는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은걸까?
예외 처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