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는 요즘 클라우드 기술과 결합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도 활용된다클라이언트(사용자)는 WINDOWS나 MAC O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MAC OS도 LINUX와 같이 UNIX가 조상이라고는 할 수 있다.)리눅스는 GNU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발전했기 때문에 GNU
Shell 명령어는 하나하나 쳐보면서 익숙해지는 것이 필요cd ~ : 현재 사용자의 기본 디렉토리 이동cd - : 바로 이전에 있던 디렉토리 이동\-R : Recursive -> 하위의 폴더에도 같은 설정을 지정more 이후에 enter(한줄)나 space(한페이지)로
기본적으로는 terminal(console)에 출력되는 것이 기본필요에 따라 표준 입출력을 파일으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흐름을 바꾸는 것이 리다이렉션ls의 output인 파일 목록이 greb의 input으로 들어오고 이중 issue라는 키워드를 찾음
& 명령어를 통해 background에서 원하는 프로세스를 실행 가능 Ctrl+ z 명령으로 foreground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Stopped 상태로 backgroun
cp : cp 원본 복사본원본파일을 원하는 복사본 이름으로 복사(-rf 옵션과 함께 주로 사용 / r : recursive, f : 강제(Y))ln(엘엔 - 아이엔 아님!) : ln 원본 링크 파일에 대한 링크를 생성 ln(하드링크)는 같은 inode(같은 파일)의 접
UNIX 기반 OS의 커널은 C 언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커널에 명령을 내리는 시스템콜 또한 C 언어 명령을 내리면 된다.사용자 영역(응용 프로그램)이 C 언어로 만들어졌다면 바로 시스템콜 사용이 가능하다.int 0x80(system_call()) 함수를 실행 > eax
은 자동화하는 것이 용이쉘스크립트 파일은 실행권한(x)이 필요하므로 없는 경우 chmod 777로 권한부여 후 실행e
정상 종료하면 0을 리턴하고,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를 리턴 exit()와 같이 쓰레드를 종료할 때 사용하는 함수 쓰레드들의 실행간에 순서를 정하고 싶은 때 pthread_join()을 사용 pthread_join()이 없으면 main/thread1/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