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데브코스 [11주차 - 3]<리눅스 파일시스템 및 저장장치 기술(1)- 파일 시스템 소개>

심우열·2023년 6월 30일
0

1. OS는?

1. 자원 관리자

1. CPU

  • 프로세스와 쓰레드로 추상화, 관리

2. Memory

  • Virtual Memory 또는 page로 추상화, 관리

3. Disk

  • File system으로 추상화, 관리

4. Network

  • Socket으로 추상화, 관리

2. 컴퓨팅 환경 제공

1. 시스템 콜

  • fork(), open(), brk(), socket(), ...

3. 파일 시스템은?

1. 운영체제가 storage를 관리하는 방법

  • Disk, Flash memnory

2. DRAM 과 Storage의 차이

1. 속도와 용량

  • 메모리 계층 구조

2. 휘발성과 비휘발성

  • 내구성을 위해 명시적으로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해야 함

3. 바이트-유닛 인터페이스와 섹터-유닛 인터페이스

  • CPU는 섹테-유닛 인터페이스에 바로 접근 불가능
  • 실행(로딩) 전에 프로그램을 디스크에서 RAM으로 로드해야 함

3. 목표

  1. 높은 성능
  2. 많은, 대용량 파일의 지원
  3. 일관성(비 휘발성)
  4. 스토리지 특성에 따른 최적화
  5. 작은 스토리지 지원

4. 추상화와 계층구조

1. 추상화란?

  • 일반화 과정
  • 목적에 부합되는 정보만 가짐

2. 계층구조

  1. 애플리케이션/커맨드
  2. 시스템콜
  3. 파일시스템
  4. 디바이스 드라이버
  5. 디바이스

4. OS viewpoint

1. Component viewpoint

  • OS Three Pieces

1. Virtualization

  • 프로세스
  • 스레드
  • 가상메모리

2. Concurrency

  • 세마포어

3. Persistence

  • 스토리지

2. Data structure viewpoint

task structure

3. Code-level viewpoint

profile
Dev Ops, "Git, Linux, Docker, Kubernetes, ansible, "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