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데브코스 [5주차 - 1]<리눅스 File and Directory 실습>

심우열·2023년 5월 3일
0

1.

1.

2.

3.

하위에 디렉터리(파일)이 있어 rmdir 명령어로 삭제 불가능, rm 명령어 사용

4.

5.

2.

3.

1.디렉토리

1. file: 지정된 파일의 타입을 확인하는 명령어

2. pwd: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명령어

3. c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위치를 이동하는 명령어

4. ls: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디렉토리, 파일 등)을 출력

5. dir: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로써 ls 명령어와 동일한 기능

6. vdir: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자세히 출력(ls -l 과 동일)

2. 디렉토리 생성 삭제

1. mkdir: 디렉토리 생성

2. rmdir: 디렉토리 삭제, 하위에 디렉토리나 파일 있을경우 오류

3. 파일 내용 확인

1.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

2. more

  1. 리눅스에서 파일을 열 때, 파일이 너무 길어 화면상에 다 나오지 않거나(콘솔의 라인수 제한 때문에),다 나오더라도 스크롤을 써야되 불편한 경우가 가 있는데 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more명령어
  2. more명령어는 긴 파일을 한 페이지씩 보여주는 명령어
    3.이 명령어 역시 여러 파일을 동시에 열 수도 있음
    4.여러 파일을 열면 파일명을 함께 보여줌
  3. 다른 명령어의 결과를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more로 페이지단위로 출력하기도 함

3. less

  1. Less는 파일 또는 명령 출력의 내용을 한 번에 한 페이지씩 표시하는 명령줄 유틸리티
  2. more와 비슷하지만 고급 기능이 있어 파일을 앞뒤로 탐색할 수 있음
  3. 적게 시작할 경우 전체 파일을 읽지 않으므로 vim이나 나노와 같은 텍스트 편집기에 비해 로드 시간이 훨씬 더 빠름
  4. less 명령은 대용량 파일을 여는 데 주로 사용

4. tail

  1.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행을 기준으로 지정한 행까지의 파일 내용 일부를 출력해주는 명령어
  2. 기본값으로는 마지막 10줄을 출력하며 주로 tail은 리눅스에서 오류나 파일 로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됨

4.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동, 복사, 삭제

1. cp: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2. mv: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 시킬때 사용하는 명령어

3. rm: 파일이나 디렉토리( -r 옵션시 삭제가능)를 삭제 시킬때 사용하는 명령어

5. 기타

1. ln: 링크파일을 만들때 사용하는 명령어(-s 옵션을 이용하면 소프트링크, 그렇지 않으면 하드링크 파일 생성)

2. touch: 파일의 생성과 파일의 날짜, 시간을 변경하는 명령어

3. grep: 특정 파일에서 내가 원하는 문자열이 있는 라인을 찾는 명령어

4. find: 파일을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 다양한 표현식을 사용하여 원하는 파일의 목록을 추출할 수 있음

5. whereis: 바이너리 파일의 위치뿐만 아니라 소스, 매뉴얼의 위치를 확인하는 명령어

6. which: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명령어 실행 파일(또는 링크)의 위치를 확인하는 명령어

profile
Dev Ops, "Git, Linux, Docker, Kubernetes, ansible, "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