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수란? 변수의 필요성 메모리 :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집합체 셀 하나에 1바이트(8비트) 각 셀은 고유의 메모리 주소를 가지며, 이 주소는 메모리 공간의 위치를 나타낸다. 컴퓨터는 셀 크기 단위로 데이터 저장하거나 읽어 들인다. 메모리
1. 객체란? > 객체 다양한 타입의 값(원시 값 또는 다른 객체)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한 복합적인 자료구조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 프로퍼티 :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키와 값으로 구성) 메서드 : 프로퍼티(상태 데이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때,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서드라고 부름.) 2. ...
1. var 변수 재할당 가능 중복 선언 가능 함수의 코드 블록만 지역 스코프, 함수 밖에서 선언하면 모두 전역 변수 변수 호이스팅으로 함수 선언과 초기화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된다.(브라우저에서는 window, 서버에서는 global 객체) 따라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의 생명주기는 전역 객체의 생명주기와 일치한다. 2...
암묵적 전역 변수 선언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에러를 내지 않고 암묵적으로 자스 엔진이 전역 객체에 x 프로퍼티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것. ➡️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키워드로 변수 선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ES5부터 strict mode가 추가 되었다.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보다 엄격하게 적용해서...
프로그래머스에서 코테 연습할 때 종종 보였던 메서드들이 책이 잘 소개되어 있어 정리해보았다. 나중에 코테 스터디에서 풀었던 문제들 중에 관련 있는 애들도 첨부할 예정! 1. 배열 메서드 Array.of : 인수를 요소로 갖는 배열 생성 Array.from : 인수로 받은 유사 배열 객체/이터러블 객체를 배열로 변환해서 반환 Array.isArray :...
파싱 : syntax analysis. 프로그램이 언어로 작성된 문서를 읽어 실행하기 위해 문자열을 토큰(문법적으로 더는 나눌 수 없는 코드의 기본 요소)으로 분해하고 parse tree를 생성하는 과정. 파싱 후에는 트리를 기반으로 중간 언어인 바이트코드를 생성, 실
그동안 애니메이션이나 서버 통신 등의 경우에 썼던 setTimeout, setInterval..! 이외에도 플젝하면서 필요할까봐 스로틀 등에 대해서도 잠깐 알아보고 하긴 했었지만 원리나 차이 등에 대해서 깊게 알지 못했는데 41장에서 자세히 다뤄줘서 답답했던 부분이 해소되었다✨ 호출 스케줄링? 함수를 명시적으로 호출해서 바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45장 프로미스 기존의 콜백 함수로 인해 발생하던 단점인 가독성 문제 및 에러 처리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비동기 처리 패턴이 프로미스. 비동기 처리 시점 명확하게 표현 가능한 것이 장점 비동기 동작 코드의 처리 결과를 외부로 반환/상위 스코프 변수에 할당하면 기대처럼 동작하지 않는다. 에러는 호출자 방향으로 전파된다. Promise에서 settled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