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게시글에 이어서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nexacro17을 연동하기 위한 설정 및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전자정부프레임워크 3.10 버전과 nexacro 17 프로젝트를 연동하기 위한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데이터를 보관하는 자료구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조화된 클래스들의 집합인 Collection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자.
객체 지향 설계의 아주 중요한 원칙인 SOLID 원칙에 대하여 알아보자. 간단한 예제들을 통해 어떻게 각각의 원칙들을 적용할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보자.
JWT를 이용한 인가는 어떻게 구현하는 것일까? 코드의 반복을 줄이고 자동으로 인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Interceptor를 이용하여 구현해보자.
TossPayments를 이용한 간편결제는 어떻게 구현 할 수 있을까? React + Spring 프로젝트에서의 구현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ControllerAdvice + @ExceptionHandler를 사용하여 전역적 예외처리를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같이 알아보자.
프로젝트를 하면서 문득 든 생각은 프로젝트를 완료했는데 배포를 못하면 어떻게 하지? 라는 생각이 들었고, 테스트 차원에서 현재까지 작성된 프로젝트를 빌드하여 배포하기 위해 AWS EC2에 도전해봤다. 차근차근 알아가보자.
React + Spring으로 소셜로그인을 구현하면서 발생했던 오류들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자세한 개념들은 더 공부해보고 알려드리겠습니다.
React + Spring 프로젝트를 이용한 소셜로그인 구현하기 입니다. 처음 도전하시는 분들도 한번 참고해서 작성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JWT를 이용하여 로그인 단계에서 토큰을 발급하는 실습을 진행해보자. spring legacy 프로젝트에서 구성한 예제이다.
선택한 지역의 단기예보를 가져오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기상청 단기예보 API를 사용해보았다. 사용하는 방법보다는 사용 후 느낀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이야기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카카오에서 지원하는 DaumPost API를 통해 주소를 검색하고, 선택한 주소를 얻어오는 기능을 구현해보자. React를 통한 구현을 할 예정이다.
리눅스 기반의 CentOS7를 mac apple chip에서 설치하여 사용해보자. docker를 기반으로 가상 컨테이너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하나의 자료형이 다양한 형태의 자료형으로 동작할 수 있거나 메소드의 매개변수로 전달되어 사용되어지는 개념이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다형성과 오버로딩 및 오버라이딩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React와 Spring Legacy 프로젝트를 연동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알아보자.
Rest API 규칙 준수를 위해 Http 메소드 사용 시 PUT, DELETE 메소드 인식 오류에 대한 필터 설정을 해보자. HiddenHttpMethodFilter 객체에 대한 설정에 대하여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