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boundPortAdapter 인 Repository 계층의 DB와 연결된 test 작성하기
코드로 보면 타입도 너무 많고 정리가 안되서 읽으면서 기록해보았다. FxTS 에서 reduce는 pipe 등 다른 근본적인 고차함수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었다.
유인동님의 함수형 프로그램밍(인프런) 강의를 듣고 내가 다시 복기할 수 있도록 중요한 내용만 기록해 봄
실행컨텍스트, Lexical Enviroment, OuterEnviroment Ref. 의 참조 관계로 이해하는 클로저
의존성의 역전이라는 용어는 처음 들었을 때 상당히 어려운 용어이다. 처음에 볼 때는 이해가 안되었는데, 클린아키텍쳐 도서의 일부 설명을 보고 드디어 이해가 되었다. 내가 이해를 못 한건 '역전'이라는 키워드를 쓴 이유가 궁금했기 때문이다..의존성의 역전을 알기 위해서는
두 코드의 차이는 무엇인가? 1번 코드로 했을 때에는, 이 DynamicAuthGuard 를 사용하는 모듈에 LocalAuthGuard와 GoogleAuthGuard를 주입하고나서 사용해야 했다.그러나 2번 코드는 사용하는 모듈에 가드를 주입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다
비동기 처리에 이어서..
데코레이터 : 클래스 / 메서드 / 프로퍼티 / 파리미터에 새로운 내용을 덧붙이는 '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