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정의정·2023년 8월 11일
0

DB

목록 보기
2/9
post-thumbnail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DBMS)에 대해 알아보자. DBMS의 주요 기능, 장단점에 대해 간단히 다뤄보도록 하겠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DBMS)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란,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중복과 데이터 종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소프트웨어이다.

데이터베이스의 생성과 관리를 담당하며, 모든 응용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고, DBMS를 통해 데이터를 삽입, 검색, 수정, 삭제한다.

1. DBMS의 주요 기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주요 기능으로는 정의, 조작, 제어 기능이 있다.

정의 기능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거나 수행한다.

조작 기능

데이터를 삽입, 검색, 수정, 삭제하는 연산을 수행한다.

제어 기능

데이터를 항상 정확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 DBMS의 장단점

장점✔️

👉🏻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중복 문제 해결
👉🏻 데이터 독립성 확보: 데이터 구조가 바뀌어도 응용프로그램을 바꿀 필요 없음
👉🏻 데이터 동시 공유(Concurrency control)
👉🏻 데이터 보안 향상: 사용자 별 접근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영역 제한 가능
👉🏻 데이터 무결성 유지
👉🏻 표준화 방식(데이터베이스 언어)으로 데이터에 접근
👉🏻 장애 발생 후 회복 시 데이터 일관성과 무결성 유지 - 트랜잭션 가능
👉🏻 응용 프로그램 개발 비용 감소

단점✔️

👉🏻 DBMS 구매 비용
👉🏻 응용 프로그램이 DBMS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오버헤드 발생
👉🏻 응용 프로그래머는 DBMS가 어떻게 동작하는 지와 표준 데이터 언어에 대한 지식이 필요
👉🏻 DBMS 장애 발생 시 모든 응용 프로그램 장애 발생

🌟 Data Dictionary(System Catalog)

DBMS는 database와 함께 Metadata(data about data)를 저장하는데, 이는 데이터 정의어(DDL)에 의해 생성된다.

👀 Metadata

👉🏻 각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의 이름(테이블, 컬럼 이름)
👉🏻 스토리지에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 보안을 위한 제약(security constraint): 누가 어떤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는가.
👉🏻 무결성을 위한 제약(integrity constraint): 어떤 값이 데이터에 유효한가.

profile
배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