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공간의 활용을 위해 필요한 변수
(변수)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어떠한 '용도'로 쓰일 것인지 생각 해야 한다.
실수로 이용하면 안된다.
변할 수 있는 수
값을 가지고 변할 수 있고 값을 가지고 계산을 한다
int (변수);
메모리 공간이 할당이 된다.
내가 원하는 값을 저장 하고 바꿀 수 있다.
메모리 공간에 (변수)의 값이 주어진다.
자바에서 = (이콜)은 '같다'가 아닌 '대입'의 의미
대입은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으로!
> int num;
// 변수 num 의 선언
> num = 10;
// 변수 num 에 10을 저장
> int num = 10;
// 문장풀이) "정수를 저장으로 목적으로 num 이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그 변수에 10을 저장해라" 라는 의미!
// 변수 num 선언과 동시에 10으로 초기화
// 위에 두 개의 문장을 이처럼 '하나의 문장' 으로 구성 가능!
☆실수의 값은 무한대의 수를 가짐
정수와 달리 실수는 오차 없이 표현 불가능
정밀도를 낮추고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 넓힘
☆ 실수 표현 방법의 기준 『IEEE 754』
double num1 = 1.0000001;
double num2 = 2.0000001;
char ch1 = '헐';
char 자료형은 선언한 ch1 에 문자를 저장하겠다.
' '(작은 따옴표)는 이게 데이터.라는 의미로 유니코드 저장 값을 컴파일러에 알려줌
'0x' 는 16진수를 표현
☆결론) 자바가상머신은 유니코드로 문자를 표현, 컴파일과정 또는 자바가상머신의
의해 문자와 숫자의 유니코드를 기반으로 변환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