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Keep)
-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직관적이고 명확한 표현으로 변수명을 지어주자. 줄여서 쓰는 것도 안된다.
- 하루의 마무리 시간에 일지 작성하면서 기록, 회고, 반성하는 습관을 들이자.
- 생활 루틴 지키기
P (Problems)
- 과제 마감 기한을 지키지 못했다.
- 디버깅 능력이 부족하다. 오류에 대한 원인 분석을 하지 않는다.
- 무분별한 질문
- 작업 프로세스의 부재
- 잘못된 학습법 -> 강의 내용 이해 부족
T (Try)
- 주말까지 강의 학습을 마치고 다음주의 과제 마감 기한을 정한 후 월요일을 맞이한다.
- 월요일부터는 하루하루의 마감 기한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 작은 작업이더라도 마감 기한을 정한다.
- 디버깅할 때도 무작정 시간을 쏟지 말고 얼마나 고민할지 시간을 정하고 디버깅한다.
- 내가 정한 마감 시간까지 고민해본 후에도 해결되지 않으면 도움을 요청한다.
- 오류에 대한 질문을 할 때는 어떤 상황인지, 해결을 위해 어떤 시도를 해보았는지, 원인으로 예상되는 것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명확히 밝혀 질문한다.
- TIL로 디버깅한 내용을 기록해본다.
- 준비, 입력, 처리, 출력의 프로세스대로 코드 설계를 한 후 코드를 짠다.
- 주말 강의 학습법을 개선해서 실천해본다.
A (Action)
- 주말 강의 학습
- 손으로 메모하면서 강의 수강
- 메모한 내용 노션 강의 노트에 정리
- 강의 코드 내용 따라치면서 강의 수강
- 개념 노트 작성
- (선택) 강의 코드 흐름 분석
- 월요일을 시작하기 전에 강의 학습을 마치고 다음주의 과제 마감기한을 정한다. 그리고 매일매일의 마감 기한을 무조건 지킨다.
- 디버깅할 때 무작정 시간을 쏟지 말고 얼마나 고민할지 시간을 정하고 디버깅한다. 내가 정한 마감 시간까지 고민해본 후에도 해결되지 않으면 도움을 요청한다.
- 오류에 대한 질문을 할 때는 어떤 상황인지, 해결을 위해 어떤 시도를 해보았는지, 원인으로 예상되는 것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명확히 밝혀 질문한다.
- TIL로 디버깅한 내용(에러, 원인, 해결책, 시행착오 등)을 기록해본다.
- 코드를 치기 전에 [준비, 입력, 처리, 출력] 네 단계로 작업을 설계한다. 그 후 수정/보완 단계를 거친 뒤에 코드를 짜기 시작한다.
- 쉬운 것부터 구현한다. 코드를 바꿀때마다 돌려보면서 원하는 결과대로 출력되고 있는지 계속해서 확인한다.
- 회고는 개선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회고뿐만 아니라 내가 하는 모든 일들을 나에게 가치있는 일로 만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