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Keep)
- 규칙적인 생활을 유지하며 맡은 일들을 모두 완수할 수 있도록 하자.
- 공부하는 시간만큼은 몰입해서 제대로 하자.
- 할 일이 많고 조금은 힘들어도 긍정 파워로 이겨내자 :)
- 일단 공부량을 많이 많이 하자.
P(Problems)
- 나름 보충했다고 생각했는데 여전히 개념 공부 수준이 얕았다.
- 과제의 조건을 빠트리고 넘어가는 부분이 있었다.
- 지난주의 과제들보다 비교적 복잡한 프로그래밍을 해야했다. 어떤 것부터 먼저 처리해야 조건을 빠트리지 않고 순차적으로 잘 만들어낼 수 있을지 모르겠다. 중구난방으로 제멋대로 프로그램을 짰다.
- 코딩을 할 때 변수명을 아무렇게나 지어서 다른 분들이 내 코드를 확인하시면서 어떤 변수인지 계속해서 질문하셨다.
- 과제 마감이 늦어졌다. 맡은 일을 제 시간 안에 모두 해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
T(Try)
- 개념 공부를 한 뒤 키워드들에 맞는 설명을 할 수 있는 수준인지 자가체크 해보자. 한번만에 절대 안되니까 계속계속 보자.
- 과제의 조건들을 노션에 체크박스로 정리하고 구현될 때마다 하나하나씩 지워나가보자. (루피님이 알려주신 꿀팁!)
- 일단 과제를 시작하기 전에 대략적으로 어떤 것부터 하면 좋을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 프로그램을 짜는 중간중간 맞는 흐름으로 가고 있는지 확인을 받아보자.
-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직관적이고 명확한 표현으로 변수명을 지어주자. 그리고 줄여서 쓰는 것도 안된다. num(x) number(o)
- 오늘 목표한 양은 최대한 오늘 당일에 소화해내자.
A(Action)
- 개념 공부를 매일 매일 조금이라도 하자. TIL을 잘 활용하면 개념공부 자가체크에 도움이 될 것 같다. 나는 TIL에 정리해둔 개념을 필요할때마다 와서 보는 편인데 계속해서 보는 것도 좋지만 머리에도 좀 넣어둬야 할 것 같다.
- 과제의 조건이나 흐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노션 - 할 일 목록' 기능을 활용하자. 그리고 중간중간 질문을 드리고 피드백을 받자.
-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직관적이고 명확한 표현으로 변수명을 지어주자. 줄여서 쓰는 것도 안된다.
주간 회고 마무리
- 바쁘고 정신없지만 하루하루를 그냥 흘려보내지 말고 내가 지금 뭘하고 있는지 확실하게 인지하고 생각하면서 제대로 해봐야겠다.
- 많고 어려울수록 대충대충 넘어가면 안되고 제대로 다 챙겨서 가야 될 것 같다.
- 내가 모르는 게 뭔지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뭘 모르는지 모르겠어요." << 아무도 도와줄 수 없고 해결해줄 수 없다. 명확하게 문제점을 파악해야 해결책이 생긴다.
- 혼자였으면 안 좋은 습관인 줄도 모르고 나쁜 습관을 왕창 만들어냈을 것 같다. 옆에서 계속 알려주시고 도와주시고 그러면 안된다고 여러 번 말해주셔서 감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