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름붙은 반복문
- 여러개의 반복문이 중첩되어 있을 경우 반복문 앞에 이름을 붙이고 break문과 continue문에 이름을 지정해서 하나 이상의 반복문을 벗어나거나 반복을 건너 뛸 수 있다. 별 다른 설정을 하지 않고 사용한다면 break문은 근접한 단 하나의 반복문만 벗어날 수 있다.
public class test_반복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oop1:
for (int i = 2; i <= 9; i++) {
for (int j = 1; j <= 9; j++) {
if (j == 5)
break Loop1; // 구구단 2단 *4까지만 출력하고 전체 Loop1 밖으로 이동
System.out.println(i + "*" + j + "=" + i * j);
}
System.out.println();
}
}
}
2. break문과 continue문
- 반복문 탈출 -> break
- 반복 작업을 중간에 중단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면 된다. 반복문 앞에서 break가 실행되면 반복문을 즉시 종료시킨다.
- 반복문 안에서 break문을 만나면 반복문을 벗어난다.
- 자신이 포함된 가장 가까운 반복문을 벗어나게 된다.
- 반복문에서 아래만 skip -> continue
- 실행을 중단하는 대신 반복문의 맨 처음(조건문)으로 돌아가고 싶을 때 사용한다.
- 실행을 즉시 중단하면서 반복은 지속해가고 싶을 때 사용하면 된다.
- 반복문 안의 문장을 수행하는 도중에 continue문을 만나면 반복문의 처음으로 돌아간다.
3. do ~ while문
- while문의 변형으로 기본적인 구조는 while문과 같지만 조건식과 블럭의 순서가 바뀐 구조이다.
- 그리 자주 쓰이는 반복문은 아니지만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비교 및 처리할 때" 주로 사용된다.
- 반복 여부를 결정할 조건식이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최소 한 번의 실행은 보장되어 있다.
do {
... // 처음 한 번은 무조건 실행된다.
} while (조건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