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build 많이 돌리면 ec2 instance volume 넘치는 문제 발생하는 것 같음여기 데이터의 영향도와 동작 확인 필요
fargate elb 구성 후 Rolling update시 문제점target group의 deregistration delay가 default 300이라 draining time이 길어서 한동안 새 task로 call이 들어가지 않음
리뉴얼된 ecs에서 기존 task definition의 json으로 동작하지 않는 부분이 있어 문서화 하게 되었습니다.JSON copy하여 사용 X >> 동작 안하는 케이스 발견\-- 2023.01.30 --ecs의 task definition으로 이동1.1 task
git tag를 remote로 전달하기 위해서는git push origin --tags하나의 git tag만 push 하는 경우에는git push origin <tag_name>git tag 이용하는 경우 remote에 tag 가 많이 누적되어 삭제해야 하는 경우
network connection 풀어줘야 함setsebool -P httpd_can_network_connect true
ssh-keygen 후에 /var/lib/jenkins/.ssh로 id_rsa, id_rsa.pub 이동bitbucket에 ssh key 등록sudo chown jenkins -R /var/lib/jenkins/.ssh/\* 로 jenkins가 파일 읽을 수 있도록 설
npm start에 tsc-watch로 실행시킬 때 에러tsconfig.json의 rootDir 지정해주지 않아서 경로를 찾지 못함해당 값을 처럼 처리하면 해결
wsl내부에서 기본적으로 localhost로 뜨는 것들은 172.0.0.1에 mappingsocket.io의 경우 local로 띄웠음에도 불구하고 연결 안됨xhr poll errorwsl 내부 eth0으로 mapping된 ip 이용해야 함ex)172.24.50.5//기
mongoose의 속도 향상 가능불필요한 동작 건너뛰기 때문변경사항 tracking casting, validation getter, setter virtuals save()쿼리 결과 modify 하거나 custom getter를 사용하지 않는경우에 lean() 쓰는걸
SUBSTRING/SUBSTR("문자열", 시작인덱스값, 길이)시작 인덱스값 음수면 뒤에서 인덱스값LEFT("문자열", 길이)문자열 왼쪽부터 길이만큼 자름RIGHT("문자열" 길이)문자열 오른쪽부터 ==REPLACE(값, A, B)값 내부에서 A와 일치하는값 전부 B로
git tag를 쓰자소스코드상에서 commit 시 git tag 사용remote repository에 git tag pushbuild시 parameter에 git tag 설정(추가적으로 release된 빌드 버전 관리 위해 string parameter 사용 가능)소스
node 서버에서 간단하게 데이터 캐싱하고 싶을 경우(DB 쓰기에는 리소스 낭비가 심하고, fs 쓰기에는 read/write때문에 속도 저하가 걱정될 때)예시변수 하나만 사용하고 읽기는 많으나 쓰기는 적은 경우(변동이 거의 없는 케이스)서버 재기동시에도 값을 가지고 있
java spring boot 에서 api call 중에 에러 발생cloud환경에서는 에러가 나지만 응답 리턴 존재local환경에서는 동일한 에러에 응답 없음초기 에러method가 없다는 에러를 통해 코드내 함수 확인이상한 점을 찾지 못함함수 작동시 undefined나
mongodb 실행 후 db 접근이 안되거나 command find requires authentication에러 날때mongo -u \[USR_NAME] -p \[PWD] --authenticationDatabase admin으로 접속하면 해결
mongodb data import 시cli 환경에서 collection의 json 파일의 경우\--jsonArray의 경우 안써도 되나 Failed: cannot decode array into a primitive.D 에러라면 추가\--drop 옵션 사용하면 이미
Error ssl 인증서 오류인듯 함 DNS상에 실제 등록된 서버와 인증서간의 서버 도메인은 일치하나 주소가 달라서 생기는 문제로 추정 해결법 DNS 서버를 타야하는 상황에서 미리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이 바라볼 리소스 수정 이후 해당 인스턴스 내에서 dock
windows 10에서 wsl 2 이용nvm으로 node 설치npm audit fix -g\->global에 audit 적용 안됨직접 global package 위치 찾아 들어가서 npm audit 실행wsl 환경에서 global package 위치는 ~/.nvm/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