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사전 교육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프로젝트에 들어간다.들어가기 전 프로젝트에서 어떤 기술 스택을 사용할지 목록을 보고 있었는데 Next.js가 보여서 프로젝트 전에 한번 정리 해두면 좋을것이라 생각 되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Next.js는 기본적으로 React를 기
Firebase와 리액트를 연동 하세요.파이어베이스는 구글에서 서비스하는 웹 및 앱 개발 플랫폼.이것만 있으면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백엔드에 대해 크게 신경쓰지 않고 빠르게 작업하여 작업 및 배포할 수 있다.물론 엄청난 기능이 필요한것들은 백엔드가 필요하지만 단순한
기존에 만들었던 무비 앱에 Redux-toolkit을 작성하시오.리덕스 툴킷에 대해서 간단하게 기록하자면 중앙 저장소에 현재 상태를 저장하는 라이브러리다.제일 핵심은 중앙 저장소에 상태를 저장하고 컴포넌트에서 그 상태를 불러와 화면에 띄워주고 뭔가 상태를 변해야 할 때
과제: 기존에 만들었던 무비 앱에 커스텀 훅을 제작하고 실시간 채팅 기능을 만들기커스텀 훅 자체는 저번 시간에 공부 했기 때문에 설명이 필요 없을 것 같다.다음으로는 실시간 채팅 부분인데 이 부분은 node express와 socketIO를 이용하여 해결 했다.실시간
개인 블로그 만들기 그간 배운것들을 이용해서 남는 시간에 틈틈히 공부하면서 개인 블로그를 제작했다. 이제 기능적인 부분은 대부분 완성 했으며 나머지는 디자인적인 부분만을 남겨두고 있다. 기능만을 빠르게 만들려고 했기 때문에 좀 엉성한 면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어느정
React와 React-router-dom 그리고 비동기 통신을 사용하여 영화 리스트 앱을 만들어보세요.과제에 들어가기 전에 React-router-dom에 대해 간단히 알고 넘거가는게 좋을 것 같다.일반적으로 HTML, CSS, JS로 작성된 웹 사이트와 다르게 작동
vanilla js로 할 일 목록 만들기vanilla js로 내 위치의 날씨 만들기지난번에 이어서 코드를 몇가지 수정했다.먼저 로컬스토리지에 투두 리스트가 이미 있는 경우라면 미리 불러와서 todo list에 자식으로 들어가게끔 해주었다.삭제해야할 때를 위해 미리 배열
vanilla js로 배경이미지 랜덤 변경vanilla js로 인사 만들기vanilla js로 시계 만들기우선적으로 뼈대 정도만 만들었다.추후에 배경 화면은 absolute를 박아서 제대로 배경화면의 역할을 하도록 할 것이고이미지도 화면에 꽉 차는 이미지로 변경할 예정
세이프홈즈 랜딩페이지 반응형 퍼블리싱 - css, js 작성간단하다고 생각했는데 오래간만에 바닐라JS로 만지려니 생각보다 까다로웠다.그래도 원하는 기능은 전부 구현할 수 있었다.본 후기는 유데미-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캠프 학습 일지 후기로 작성 되었습니다.
유데미에서 UX관련 강의를 들어보았다.개인 혹은 팀 프로젝트를 하면서UX와 같은 부분은 어떻게 해야할까?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하곤 했었다.강의를 들으면서 어떻게 접근 할 수 있을지 감을 잡을 수 있었다.물론 지금까지 개발하면서 혹은 여러가지 사람들의
사람들이 우리 제품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주요 테스크모든 시스템에는 극히 중요하면서도 작은 일련의 테스크가 있다.하지만 시스템은 덜 중요한 테스크까지 수행할 수 있으며 정작 사용자가 제일 중요하게 여기는 일을 소홀하게 여길 수 있게 된다.그렇기 때문에 사용자의 목표에 맞
파일의 히스토리를 관리해주는 툴 (형상관리)Github클라우드 기반의 Git 저장소 호스팅 서비스레포지토리 (레포지토리, 저장소)깃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 폴더커밋Git이 코드의 변화를 기록하는 것staged수정된 파일들을 Commit에 기록된 상태Origin깃허브에 업
UX 사용자 경험에서 설계든 뭐든 가장 중요한 것은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을 이해하는 것. 사용자 경험이 중요한 이유 수익 증가 사람들이 원하는 제품을 찾을 수 있기 때문. 매출의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기 떄문 시스템이 직관적일수록 사용자들이 원하는 물건을 찾기 쉬워진다. 사용자들이 편리한 사이트에 추가 비용을 쉽게 지불한...
React-Query는 기존 Zustand나 Recoil 혹은 Redux와 같은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에서 어려운 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다. 기존의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들은 충분히 훌륭하지만 서버측 상태관리를 하기엔 그다지 적합하지 않은 부분들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