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로컬스토리지와 세션스토리지에 대해 내가 알아먹기 쉽도록 정리하는 글이다. 이번 정리로 인해 제발 이해하자!!
로컬스토리지는 쉽게 말해 브라우저내에 어떠한 데이터를 올려놓을 때 브라우저 세션간에 공유를 위해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localStorage 와 sessionStorage로 나뉜다
방문기록 삭제하는 것처럼 직접 삭제하기 전까진 기한 만료가 없어 사라지지 않는다.
데이터를 저장한 해당 탭을 닫음과 동시에 데이터가 삭제된다.
http로 방문한 페이지에서 저장된 데이터와 https로 방문한 페이지에서 저장된 데이터는 각각 다른 스토리지에 저장된다)MDN에서 정의하는
값현재 출처의 로컬 저장 공간에 접근할 수 잇는 Storage 객체
출처 : 지금 내가 접속하고있는 사이트 도메인을 말한다.
Storage : 단순한 key와 value로 되어있는 저장소로 객체와 비슷하다.
// 키와 값을 추가하는 방법
// 여기서 키는 'myCat' 이고 값은 'Tom'이다.
// 첫번째 인자 : key, 두번쨰 인자 : value
localStorage.setItem('myCat', 'Tom');
// 키와 값을 불러오는 방법
// 로컬스토리지는 객체 형
const cat = localStorage.getItem('myCat');
위의 예제를 콘솔에 작성해본 결과
localStorage에 객체형태(Storage)로 키와 값이 저장된것을 알 수 있으며,
const로 선언한 'cat'을 입력했을 때 값인 'Tom'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 키와 값을 삭제하는 방법
// getItem과 마찬가지로 키만 입력해준다
localStorage.removeItem('myCat');
// 로컬스토리지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 제거
localStorage.cl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