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1장

강세준·2023년 2월 9일
0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인프라 설계

  • 인프라를 만든 목적을 이해하고 목적 달성을 위한 기능, 성능, 조건등을 정리
    이후 적절한 기획서,설계서를 작성해 비용, 기간, 작업등을 예상하여 책임자에게 결재를 올린다.

인프라 구축

  • 기기의 운반, 조립, 장착, 설치, 설정, 동작 테스트, 부하 테스트등의 인프라 구축 작업이
    존재한다.
  • SI업계에서 기기 설치관련 작업은 CE(커스터머 엔지니어), 서버 스토리지 설정은 SE(시스템 엔지니어) 네트워크 장비 설정은 NE(네트워크 엔지니어)가 하는게 보편적이나
    웹 기반업계에서는 역할 분담없이 인프라 엔지니어가 처음부터 할 수 있다.

인프라 운영

  • 인프라는 24시간 365일 가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사에서 교대로 운영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운영 조직이 없을 경우 MSP라는 인프라 관리 업자에게 위탁한다.
  • 인프라 운영은 크게 3개의 주제로 나눠진다
    • 장애 대응 : 하드웨어 고장, 급격한 엑세스 증가 대책, 부적절한 권한 설정으로 인한 액세스 문제 해소
    • 수용량 관리 : 인프라가 시간이 지나면서 규모가 커지거나 줄어들 때 수용력을 재검토 해야한다
    • 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제 : 장애 원인을 파악하고 인프라가 원인이면 대응하고 아니면 대응 가능 부서에 요청한다

인프라 구성 요소

  • 퍼실리티 : 건물, 시설, 설비 ex)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랙, 에어컨, 변압기 등
  • 서버, 스토리지 : IT 서비스 제공하는 서버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 네트워크 : 서버 및 스토리지를 연결해 인터넷에 접속하느 네트워크

기술자 관점에서의 인프라 엔지니어

  • 서버 하드웨어 : IA 서버, 엔터프라이즈 서버
    두 서버 모두 CPU, 메모리, 디스크,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PSU(파워 서플라이 유닛)같은 부속 조합으로 구성, 각 부품은 해마다 다양하됨
  • 서버 운영체제 : LINUX, WINDOW, UNIX 각 OS별 장애 대응 경험과 같은 실전 경험이 중요
  • 스토리지 : 디스크 대용량화, 플래시 디스크 등장에 따른 고속화 및 데이터량의 증가
    다양한 신 기술들이 등장하며 장단점 및 비용을 파악하여 선택
  • 네트워크 설계 및 구축 :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이 TCP/IP로 집약된다.
    인터넷 환경에서 네트워크는 외부와 연결되어야 성립한다.
  • 네트워크 장비 : 주 역할은 통신의 교환이다, 업체마다 명령 체계에 차이가 있기에 네트워크 장비 통일이 자주 이루어진다.

선정자로서의 인프라 엔지니어

  • 시스템 구성 : 어떤 시스템을 어느 정도 규모로 구성할 것인지 검토한다.
  • 서버 사양 선정 : 구매하는 서버의 사양을 고려해야한다.
    서버 부품을 예로 들면 CPU, 메모리, 디스크, RAID, 이중화 필요성, 보수 연수, 보수 레벨 등
  • 네트워크 구성 : 네트워크 구성 검토
    랙에 설치할 스위치 개수, 각 스위치의 수용량, 보증 기간, 채택할 업체 등
  • 데이터베이스 설계 : 데이터베이스 종류, 요건 검토
    RDBMS 선정, 필요 용량 계산,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물리적 배치 결정 등
  • 운영 시스템 : 시스템을 어떻게 감시하고 운영할 것인지 검토
    ex ) 장애 발생 - 시스템 감시 도구로 감시 이후 사원만 대응or 1차 대응 MSP 업체 이후 사원에게 문제전달 등

what is si? sm과의 차이점 / Msp란?

profile
데이터를 탐구하는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