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하루 3분 네트워크 6-9화

Kyoorim LEE·2023년 11월 15일
0

6. LAN과 WAN

  • 네트워크 구조에 따른 분류: 멀티액세스 네트워크, 포인트 투 포인트 네트워크
  • 네트워크의 범위/규모에 따른 분류: LAN과 WAN

LAN (Local Area Network)

LAN 이란?
: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 즉 구내(가정, 사무실, 학교, 빌딩)에 설치된 네트워크

  • 사용하는 쪽에서 케이블 설치, 라우터 배치 등 본인들이 책임지고 구축하는 네트워크 👉🏻👉🏻 어느정도 자유로움 👉🏻👉🏻 자율시스템(AS)

💡 자율시스템 이란?
자체 라우팅 정책을 갖추고 특정 IP 주소를 제어하는 아주 규모가 큰 네트워크
ex)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

  • 그 네트워크 안에 있는 컴퓨터들끼리 데이터 통신 가능
  • 예시: 가정용 Wi-Fi 네트워크, 소규모 비즈니스 네트워크

LAN은 어떻게 작동할까?

  • 중앙 지점(라우터)에서 인터넷에 연결된다.
  • 네트워크 내의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이더넷, WIFI 등을 사용함

💡 이더넷 이란?
이터넷 케이블을 사용해야하는 물리적 네트워크 연결용 프로토콜


LAN 네트워크와 LAN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

문제는 케이블 !!

공공장소에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나라에서 허가받은 통신사업자(KT, LG, SKT)들이 가진 케이블을 이용하면 됨 👌👌


WAN (Wide Area Network)

WAN 이란?
통신사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케이블에 데이터를 전송할 권리를 구입해서 구축한 네트워크(임대회선 이용) 👉🏻👉🏻 도시간 < 지역간 < 국가간 네트워크 가능!

이러한 긴 연결은 임대 회선, VPN, IP 터널 등 여러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음

💡 터널링? VPN?
터널링은 데이터 패킷을 다른 데이터 패킷 내에 캡슐화하여 다른 방법으로는 가지 못할 곳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법

마치 주소가 다른 두 봉투가 있는데, 한 봉투를 다른 봉투에 넣어서 내부 봉투가 외부 봉투의 주소로 발송되는 개념!

일부 네트워크 터널은 패킷의 내용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 하는데, 이 암호화된 터널을 VPN(가상 사설망)이라고 함


그렇다면 세계적 규모로 사용되는 WAN 은 ?? 🤔

정답은 인터넷(Internet)🌐 !!

참고자료



7. OSI 참조 모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규칙 = 프로토콜

ISO: 데이터 통신의 규격과 프로토콜을 통일하려고 했던 단체 👉🏻👉🏻 실패로 끝남

OSI 참조모델: 데이터 통신의 단계 구성도 - ISO의 표준화 단계에서 선언한 것

  • 데이터 통신을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의 순서를 명확히 함
  • OSI 참조모델에 따라 프로토콜을 정의해서 데이터 통신을 구축하려 함

  • 단계마다 복수의 프로토콜로 실현됨 ??
  • 데이트 송신 측 : 7계층 👉🏻👉 1계층
  • 데이터 수신 측 : 1계층 👉🏻👉 7계층

각 계층이 독립되어있음.
우편배달원은 어떻게 배달할지만 생각하면되지 편지지 모양이나 색은 신경 안써도 되니까

하위계층은 상위계층을 위해 일하지만 상위계층은 하위계층에 관여하지 않는다.



8. 캡슐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 패킷 교환 방식에서는 각각의 패킷에 수신처를 붙임
  • 이렇게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외에 다른 제어용 정보 같은 것들도 함께 덧붙여서 통합된 상태로 보내는 것
    ex) 물건을 상자에 넣어서(PDU) 택배 보내기
    - 수신처
    - 송신처의 주소
    - 헤더(데이터 통신을 위한 정보)

캡슐화 💊

  • OSI 모델에서 데이터 송신측은 7계층 -> 1계층 순서로 실행한다.
  • 각 계층이 실시될 때마다 거기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 데이터에 제어정보를 덧붙여서 PDU로 완성하는 것을 캡슐화라고 함
  • 캡슐은 수신한 쪽에서 벗겨감
계층호칭내용
사용자데이터송수신하고 싶은 데이터
5,6,7계층 PDU(각각)메시지(Message)데이터를 통신용으로 변환한 것과 7계층 헤더
4계층 PDU세그먼트(Segment), 데이터그램(Datagram)메시지와 4계층 헤더
3계층 PDU데이터그램(Datagram)세그먼트, 데이터그램과 3계층 헤더
2계층 PDU프레임(Frame)데이터그램과 2계층 헤더(2계층 꼬리부)
1계층신호프레임을 전송매체로 운반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
  • 캡슐화에서 추가되는 제어 데이터: 데이터 앞에 붙이면 헤더/Header, 뒤에 붙이면 꼬리부/Trailer라고 함
  • 헤더의 경우 그 계층 프로토콜명이나 계층의 번호를 붙여서 TCP 헤더 라고도 함


9.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과 프로토콜의 중개역 👉🏻👉 프로토콜 그룹/ 프로토콜군

💡 프로토콜군
각각의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통합한 것

프로토콜이 결정하는 것

  • 데이터의 내용, 헤더의 내용은 프로토콜로 정해져 있다

  • 데이터 송수신하는 순서와 내용을 결정한다


TCP/IP 프로토콜군

  • OSI 프로토콜을 대신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
  •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군. 즉, 인터넷을 사용하려고 하는 컴퓨터나 기기가 TCP/IP 프로토콜군을 사용해야한다는 뜻
  • 인터넷 발전과 함께 TCP/IP 프로토콜군이 사실표준(De Facto Standard) 프로토콜이 됨
profile
oneThin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