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기간: 2022.09.13 - 2022.10.11
팀원: 프론트엔드 2명, 백엔드 2명
스택: typescript
, styled-components
회원가입+유효성검사 1 | 회원가입+유효성검사 2 | 회원가입+유효성검사 3 |
---|---|---|
![]() | ![]() | ![]() |
로그인 성공 | jwt토큰 쿠키 | 로컬스토리지 저장 |
---|---|---|
![]() | ![]() | ![]() |
로그아웃 | 토큰 삭제 1 | 토큰 삭제 2 |
---|---|---|
![]() | ![]() | ![]() |
마이페이지 -일부완성 |
---|
![]() |
팀원들과 소통하기위해 더 노력함
- 적어도 10분이라도 매일 회의할 것을 제안
로그인, 회원가입을 위한 토큰 저장 방식으로 cookie
를 공부하여 적용함
- 해당 회고(로컬스토리지 vs 세션스토리지 vs 쿠키) 보러 가기
- 해당 회고(react-cookie, jwt-decode) 보러 가기
처음으로 typescript
도전
- 해당 회고(typescript) 보러 가기
유효성 검사를 위해 yup
이라는 새로운 라이브러리 적용
- 해당 회고(회원가입 유효성 검사) 보러 가기
1. CRUD기능을 다뤄보지 못한 것
프리 프로젝트에서 Create와 Read만 맡아 구현을 했기 때문에 메인 프로젝트에는 CRUD 전체를 맡아서 해보고 싶었지만 업무분담이 그렇게 되지않아 아쉬웠다.
보통 현업에 가면 유저(user) 부분은 이미 세팅이 되어 작업할 일이 별로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하지만 제가 맡은 부분이 유저인 만큼 이번 기회에 정리를 잘 해놔야겠다고 생각했다. 프리 프로젝트 때 진행한 로그인, 회원가입 파트는 context api
와 local storage
를 사용했기때문에 이번에는 쿠키를 통한 토큰 저장을 공부해 적용해보았다. jwt-decode
와 react-cookie
라이브러리를 통해 쿠키에 저장된 토큰의 유저정보를 끌어다 쓰고 로그아웃 시 쿠키와 로컬스토리지에서 모두 삭제시키는 기능을 구현했다.
2. 아쉬운 완성도
2건의 협업 프로젝트를 겪으면서 전반적으로 아쉬운 마음이 크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 과정 속에서 내가 무엇을 배웠고 프로젝트에 임했던 나의 자세라고 생각한다. 협업 프로젝트를 통해 나는 프로젝트 전체 프로세스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경험할 수 있었다. 사용자항목정의서와 화면정의서를 만들어 본 경험도 좋았다. 또한 2건의 협업 프로젝트에서 공통적으로 유저 파트를 맡았지만 이를 통해 context api
, cookie
, local storage
, jwt token
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