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 수정, 삭제 +a

최수민·2023년 9월 1일
0

TIL

목록 보기
30/41

보드 수정을 작성을 하려는데 멤버를 조회하고 추가하는데 있어 문제가 좀 있는거 같아 멤버 관련해서 전면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수정시 시작일과 마감일이 수정이 되지않아 일단 두었고, 보드 수정 삭제를 1차적으로 완료 했습니다.

그리고 api를 수정하는 와중 return 값이 애매하거나 하는 경우엔 일단 임시로 작성을 해놨고, 예찬님이 발표를 맡으셔서 트러블 슈팅을 작성해달라고 하셔서 작성했습니다.

cs도 작성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제 cs를 공부하려 합니다.

이번에 cs는 데이터베이스와 dbms에 관해 공부했습니다.

그리고 카드작업에서 파일 여러개를 올리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기술면접 top30
15. GET, POST의 개념과 함께 데이터 흐름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GET 메소드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고, POST 메소드는 리소스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해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됩니다.
GET 메소드의 정적 데이터를 조회하는 과정은 이미지나 정적 텍스트 문서를 GET하고 쿼리 파라미터 없이 리소스 경로로만 단순하게 조회가 가능한것입니다. 클라이언트에서 경로로 조회해서 정보를 달라고 GET 요청을 보내면 서버에서는 요청 메세지를 분석해 내부의 정보를 조회한 뒤 결과를 Response를 만들어 클라이언트로 응답해줍니다. 크라이언트에서 정상적으로 받으면 200 OK status를 가지며 정보를 얻게 됩니다. 동적 데이터를 조회하는 과정은 주로 검색이나 게시판 목록에서 검색어로 이용하며 쿼리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쿼리 파라미터는 키 값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요청하는 url뒤에 ?key=value 쿼리 파라미터를 줘서 상세한 조회 데이터를 얻은 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처 정보를 보내줍니다.
POST 메소드는 메시지 바디(body)를 통해 서버로 요청 데이터를 전달하면 서버는 요청 데이터를 처리하여 업데이트하고 전달된 데이터로 주로 신규 리소스 등록이나 프로세스 처리에 사용됩니다. 만일 데이터를 GET 하는데 있어, JSON으로 조회 데이터를 넘겨야 하는 애매한 경우 POST를 사용합니다.
JSON 데이터 전송 과정은 클라이언트가 body에 JSON 형태로 데이터를 만들어 담고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에서는 받은 메세지를 분석해 로직 대로 처리를 해줍니다. 그리고 신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바디에 담아 클라이언트로 응답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