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 알고리즘 정렬(Sorting)이란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말한다. 이 포스트 에선 선택 정렬, 삽입 정렬, 큐 정렬, 계수 정렬에 대해 정리하였다. 선택 정렬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 중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맨 앞에있는 데이터의
시간 복잡도 처음 시간 복잡도를 접했을때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표현하거구나~ 로 넘어갔다. 그렇게 넘어가고 최근 알고리즘 강의를 듣다 보니 시간 복잡도를 알아야 어떤 알고리즘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겠다 싶어 시간 복잡도에 대해 찾아보았다. 알고리즘
많은 양의 데이터 중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탐색이라 한다.대표적인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은 DFS와 BFS가 있다. 두 유형 모드 코딩 테스트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는 유형 이라고 한다.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나중에 나가는 형식의 자료구조. First In Last
구현 알고리즘은 풀이를 떠올리는 것은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를 지칭한다.구현 유형으론 시뮬레이션 및 완전 탐색 문제가 있는데 이 두 문제는 2차원 공간에서의 방향 벡터가 자주 활용된다. 좌표를 기준으로 움직일때 표현할수 있는 방법중 하나이다. 예시로 동,
프로그래머스 레벨 1문제 중 카카오 코딩테스트1차 비밀지도 문제를 풀다 알게된 비트 연산에 대해 정리한다. 문제는 아래와 같았다.비밀지도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
탐욕법 또는 그리디 알고리즘이라고 불리는 알고리즘 방식은 해당 상황에서 당장 좋은것을 고르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탐욕법은 최적의 해를 보장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탐욕법으로 문제를 해결 하려 한다면 문제 해결 아이디어의 정당성을 검증해야 올바르게 문제를 해결 할 수
네트워크: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슬ㄹ 공유하는 집합.노드 :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링크(엣지) : 유선 또는 무선과 같은 연결매체(와이파이나 LAN) 라우터: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치.더나아
데이터 베이스는 미리 생성했다고 가정한다.CREATE TABLE 명령어로 테이블을 생성해준다. users 테이블포스팅 테이블포스팅 이미지 테이블댓글 테이블이제 생성한 테이블에 각 필드에 맞는 데이터를 입력해 준다.INSERT INTO명령어로 데이터 입력을 한다.SELE
leetcode문제를 풀다 다른 사람의 코드에서 enumerate()함수를 접하게 되어 포스팅 한다. 파이썬에서 for 루프를 돌리는 기본적인 방법은 for 원소 in 목록 형태이다. for 루프에서 원소뿐 아니라 인덱스(index)도 출력하려 할때 enumerate를
마이허니트립 프로젝트 회고 마이허니트립 마이허니트립은 마이리얼트립을 모티브로한 프로젝트이다. 프론트3명 백엔드3명으로 진행했다. 개발 기간 2022.08.01 ~ 2022.08.12 (12일) 개발 인원 프론트 4, 백엔드 3 (각 git repo) 마이허니트립
프로그램: 컴퓨터가 실행할수 있는 명령어들의 집합프로세스: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 각각의 프로세스는 독립된 메모리 공간을 할당 받는다.(메모리 공간에 명령어들과 데이터를 가진다)CPU: 명령어를 실행하는 연산 장치4 .메인 메모리 : 프로세스가 CPU에서 실행되
Django 프로젝트중 테스트 데이터를 삭제하려고 하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를 출력하며 삭제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mysql은 테이블 간 관계가 있는 데이터는 함부로 수정 혹은 삭제할 수 없도록 되어있기 때문이었다. 이럴경우 제약 조건설정을 끄고 삭제하면 된다.해
모델링 장고의 모델을 작성하기전 테이블 관계를 미리 그려보고 모델을 작성해야한다. 아래는 커피원두 판매 사이트 클론 프로젝트에 사용한 데이이터 모델링 관계도이다. 모델링이 아직 익숙치 않아 수정을 여러번 해야했다. 어떻게 하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지 공부
requset라는 이름의 객체를 가져온다. 이떄의 request객체는 dict형태이다. get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사전형 객체이다.괄호안에 key를 입력하면 value를 가져와준다.쿼리스트링을 사용할 때 같은 키값의 밸류를 리스트로 만들어준다.
nums는 숫자로 이루어진 배열입니다.가장 자주 등장한 숫자를 k 개수만큼 return 해주세요.빈 딕셔너리와 리스트를 준비하고, 전달받은 리스트를 세트로 변환해 각각의 갯수를 {숫자 : '해당숫자갯수'}로 딕셔너리에 저장한다. 그후 밸류 값을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
HTTP는 HyperTextTransferProtocol의 약자이다. 각 단어에 대한 뜻을 살펴보자.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Hyper text와 의미가 동일하다. 문서와 문서가 링크로 연결되도록 하는 태그로 구성된 언어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