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상태 관리

js j·2023년 11월 30일
0

React

목록 보기
8/8

상태 관리

상태 관리 기술이란 앱 상에서의 데이터를 메모리 등에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 한 컴포넌트 안에서의 상태, 여러 컴포넌트 간의 상태, 전체 앱의 상태 관리를 모두 포함한다.

상태가 많지 않거나, 유저와의 인터렉션이 많지 않다면 매 작업 시 서버와 동기화하더라도 충분하다. 앱이 사용하는 데이터가 점점 많아지고, 유저와의 인터렉션 시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가 많아지는 경우 상태 관리를 고려한다. 프론트엔드 뿐만 아니라, 백엔드와의 데이터 통신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MPA와 SPA에서의 상태 관리

MPA에서는 서버의 데이터를 이용해 페이지를 렌더링하므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와 서버의 데이터가 큰 차이를 가지지 않는다.
SPA에서는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갖고, 서버와의 동기화가 필요한 데이터만을 처리한다. 그 외 데이터는 Client만의 데이터로 유지한다.
업로드중..

상태 관리 기술의 장점

  • 높은 품질의 코드를 작성하는 데 유리하다.
  • 성능 최적화, 네트워크 최적화 등에 유리하다.
  • 데이터 관리의 고도화

상태 관리 기술의 단점

  • Boilerplate 문제
  • 파악해야 할 로직과 레이어가 많아진다.
  • 잘못 사용할 경우, 앱의 복잡도만을 높이거나, 성능을 악화한다.

데이터 캐싱과 재활용

SPA에서 페이지 로딩 시마다 모든 데이터를 로딩한다면,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MPA를 크게 넘어기 힘들다. 오히려 네트워크 요청 수가 많아져 더 느릴 수도 있다. 변경이 잦은 데이터가 아니라면, 데이터를 캐싱하고 재활용한다. 변경이 잦다면, 데이터의 변경 시점을 파악해 최적화한다.
업로드중..

Prop Drilling

컴포넌트가 복잡해지는 경우, 상위 부모와 자식 컴포넌트 간의 깊이가 커진다. 최하단의 자식 컴포넌트가 데이터를 쓰기 위해 최상위 컴포넌트부터 데이터를 보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Context API등을 활용하여 필요한 컴포넌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컴포넌트 간의 결합성을 낮춘다.
업로드중..

Flux Pattern

2014년에 Facebook에서 제안한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패턴으로 Unidirectional data flow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업데이트와 UI 반영을 단순화한다. React의 UI 패턴인 합성 컴포넌트와 어울리도록 설계한다.

MVC 패턴에서는, View에서 특정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면 연쇄적인 업데이트가 일어난다. 앱이 커지면 업데이트의 흐름을 따라가기 힘들어 진다. Flux는 하나의 Action이 하나의 Update만을 만들도록 한다.

Flux 구조

Action -> DIspatcher -> Store -> View 순으로 데이터가 흐른다.
store는 미리 dispatcher에 callback을 등록해, 자신이 처리할 action을 정의한다. action creator는 action을 생성하여 dispatcher로 보낸다.
dispatcher는 action을 store로 넘긴다.
store는 action에 따라 데이터를 업데이트 후, 관련 view로 변경 이벤트를 발생한다.
View는 그에 따라 데이터를 다시 받아와 새로운 UI를 만든다.
유저 인터렉션이 발생하면 View는 action을 발생한다.
업로드중..

상태 관리에 사용되는 훅

외부 라이브러리 없이 React가 제공하는 훅 만으로 상태 관리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함수형 컴포넌트에 상태를 두고, 여러 컴포넌트 간 데이터와 데이터 변경 함수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상태를 관리하게 된다.

useState

단순한 하나의 상태를 관리하기에 적합하다. state가 바뀌면, state를 사용하는 컴포넌트를 리렌더링한다. useEffect와 함께, state에 반응하는 훅을 구축한다.

useRef

상태가 바뀌어도 리렌더링하지 않는 상태를 정의한다. 즉, 상태가 UI의 변경과 관계없을 때 사용한다. uncontolled component의 상태를 조작하는 등, 리렌더링을 최소화하는 상태 관리에 사용된다.

useContext

컴포넌트와 컴포넌트 간 상태를 공유할 때 사용한다. 부분적인 컴포넌트들의 상태 관리, 전체 앱의 상태 관리를 모두 구현하다. Context Provider 안에서 렌더링되는 컴포넌트는, useContext를 이용해 깊이 nested 된 컴포넌트라도 바로 context value를 가져온다. context value가 바뀌면 내부 컴포넌트는 모두 리렌더링된다.

useReducer

useState보다 복잡한 상태를 다룰 때 사용한다. 별도의 라이브러리 없이 flux pattern에 기반한 상태 관리를 구현한다. nested state 등 복잡한 여러 개의 상태를 한꺼번에 관리하거나, 어떤 상태에 여러 가지 처리를 적응할 때 유용하다. 상태 복합하다면, useState에 관한 callback을 내려주는 것보다 dispatch를 prop으로 내려 리렌더링을 최적화하는 것을 권장한다.

useState를 활용한 상태 관리

상위 컴포넌트에서 state와 state 변경 함수를 정의하고, 그 state나 변경 함수를 사용하는 컴포넌트까지 prop으로 내려주는 패턴.
state가 변경되면, 중간에 state를 넘기기만 하는 컴포넌트들도 모두 리렌더링된다.
상태와 상태에 대한 변화가 단순하거나, 상대적으로 소규모 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useContext를 활용한 상태 관리

Provider 단에서 상태를 정의하고, 직접 상태와 변경 함수를 사용하는 컴포넌트에서 useContext를 이용해 바로 상태를 가져와 사용하는 패턴.
useReducer와 함께, 복잡한 상태와 상태에 대한 변경 로직을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에서 활용하도록 구현 가능.
state는 필요한 곳에서만 사용하므로, 불필요한 컴포넌트 리렌더링을 방지 할 수 있다.
Prop Drilling을 방지하여 컴포넌트 간 결합도를 낮춘다.

profile
나의 코딩 일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