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Structured Query Language)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다루는데 사용하는 언어
SQL vs C언어
목적
SQL: DB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관리하기 위한 언어, DB와 상호작용하는데 사용 됨
C언어: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 됨사용 방식
SQL: 비절차적(선언형) 언어(어떤 결과를 얻을 것인지 정의)
C언어: 절차적(명령형) 언어(명시적으로 어떻게 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제어)
SQL 작성 - 구문 분석 - 최적화(실행 계획 생성) - 데이터 액세스 & 결과 반환
구문 분석(Parsing)
DBMS가 작성한 SQL을 문법적으로 검사한다.
(문장의 구조를 파악, 각 요소가 올바르게 배치되었는지 확인)
최적화(Optimization)
DBMS는 인덱스, 조인 순서 등을 고려하여 실행 계획 생성
SQL은 기능에 따라 DDL, DML, DCL로 나눈다.
데이터 정의어, 테이블의 구조를 생성, 변경, 삭제
CREATE, ALTER, DROP, TRUNCATE 등이 있다.
CREATE: 테이블 생성
ALTER: 테이블 수정
DROP: 테이블 삭제
TRUNCATE: 테이블 초기화
DROP은 테이블 자체를 삭제하고,
TRUNCATE는 테이블은 남아있지만, 테이블에 저장되있던 데이터가 모두 삭제된다.
DDL은 오토 커밋(롤백 불가)
데이터 조작어, 테이블의 데이터를 생성, 조회, 수정, 제거
INSERT, SELECT, UPDATE, DELETE가 있다.
INSERT: 테이블에 데이터 삽입
SELECT: 데이터를 조회
UPDATE: 데이터를 변경
DELETE: 데이터를 삭제
만약 모든 데이터를 삭제해야 한다면 DELETE보다, TRUNCATE가 더 빠르다.
(TRUNCATE 사용할 때는 롤백 불가 주의)
DML은 롤백 가능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데이터들을 사용하도록 권한을 주고 회수하는 명령어
GRANT, REVOKE가 있다.
GRANT: 액세스 권한 부여
REVOKE: 액세스 권한 철회
참조 무결성: 외래키는 참조할 수 없는 값을 가질 수 없다는 규칙
그런데 만약 참조 키가 참조하고 있는 컬럼의 값이 바뀌거나 삭제 된다면?
-> 해당 컬럼를 참조하고 있는 참조키의 값을 전부 업데이트 해줘야 한다.
이떄 CASCADE를 사용한다.
cascade 옵션을 사용하면,
특정 컬럼의 값을 삭제하거나 변경했을 때,
해당 컬럼을 참조하고 있는 컬럼들도 자동으로 삭제/변경 되게 한다.
cascade 옵션을 사용하여, 참조 무결성을 준수할 수 있게 된다.
create table course(
dept_name varchar(20)
...
foreign key (dept_name) references department
on delete cascade // 자동 삭제
on update cascade // 자동 변경
. . .)
course 테이블에서 참조하고 있는 department 테이블의 PK 값이 변경되거나 삭제되면,
course 테이블에서 이를 참조하고 있는 튜플들의 값도 변경된다.
외래키를 생성할 때, 무조건 테이블의 PK만 참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유니크 제약조건이 걸려 있는 속성도 참조할 수 있다.
뷰(VIEW)란, 다른 테이블로 만들어진 가상 테이블을 말한다.
뷰는 실제 테이블처럼, 행과 열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 않는다.
(특정 데이터를 보여주는 역할만 수행)여러 테이블을 번거롭게 들러서 확인을 해야 할 때 혹은
SELECT 문을 겹겹이 사용해서 어려운 쿼리문으로 조회를 수행해야 할 때
이러한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것이 바로 뷰이다.
장점
1. 특정 사용자에게 테이블 전체가 아닌 필요한 필드만 보여줄 수 있음(보안 관리)
2. 쿼리문을 쉽게 작성할 수 있음
단점
1. 한 번 정의된 뷰는 변경이 불가능
2. 삽입, 삭제, 변경 작업에 따른 오버헤드 발생 가능
(테이블을 업데이트 하면 뷰도 업데이트 될 수 있음)
3. 뷰는 자신만의 인덱스를 가질 수 없음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
SQL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가 SELECT이기 때문에,
따로 카테고리를 나눠서 설명한다.
select [distinct] 'field1', 'field2', ...
from 'table1'
[join | left join | right join | ...] 'table2' on ...
where ,,,
group by ,,,
having ...
order by ...
limit ... offset ... ;
FROM 절 & JOIN 절 - WHERE 절 - GROUP BY 절 - HAVING 절 - Window function - SELECT 절 - DISTINCT 절 - ORDER BY 절 - LIMIT/OFFSET 절
ORDER BY절은 SELECT절 다음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SELECT절에 alias가 있다면(대부분 집계함수),
ORDER BY절에서 alias를 사용할 수 있다.하지만 WHERE절과 GROUP BY절은 SELECT절보다 먼저 처리되기 때문에,
alias를 사용할 수 없다.
select 결과에 중복 튜플을 제거한다.
예시
(distinct 없을 때 결과)
name |
---|
han1 |
han1 |
han2 |
(distinct 추가 했을 때 결과)
name |
---|
han1 |
han2 |
데이터를 그룹으로 묶는다.
(대부분 집계함수와 같이 사용한다 - AVG, COUNT, MIN, MAX, SUM)
그룹으로 묶는다.
-> GROUP BY로 지정된 컬럼에서 동일한 값을 가진 튜플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준다.
select ... from ... group by 'field1', 'field2', ...
데이터를 정렬시킨다.
select ... from ... order by 'field1' [asc | desc], 'field2' [asc | desc], ...
조회 결과를
'field1'을 기준으로 오름차순/내림차순 으로 정렬,
'field2'을 기준으로 오름차순/내림차순 정렬
asc(오름차순 정렬)는 order by 절의 default(굳이 안써도 됨)
내림차순 정렬하려면 desc 추가해줘야 함
여러 개의 테이블을 연결한다.
테이블을 연결할 때 조건은 on 절을 많이 사용
연결해주는 방식에 따라 inner join과 outer join으로 나뉜다
(그 외 cross join과 self join도 있다)
inner join은 두 테이블 간의 일치하는 튜플만 반환한다.
그냥 join이라고만 써도 inner join으로 실행된다.
outer join은 두 테이블 간의 일치하지 않는 행도 반환한다.
여기서 반환하는 방식도 3가지로 나뉜다.
3가지 조인 모두 outer 쓰지 않고 실행 가능
(left join, right join, full join)
Left Outer Join
왼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포함하며,
오른쪽 테이블과 일치하는 행이 있으면 해당 행을 반환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NULL 값을 채워 반환한다.
Right Outer Join
오른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포함하며,
왼쪽 테이블과 일치하는 행이 있으면 해당 행을 반환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NULL 값을 채워 반환한다.
Full Outer Join
:
양쪽 테이블 중 어느 한쪽에라도 일치하는 행이 있으면 해당 행을 반환하며,
양쪽 테이블에 모두 일치하지 않는 행은 NULL 값을 채워 반환한다.
두 테이블 간에 가능한 모든 조합을 만들어내는 조인 유형으로,
첫 번째 테이블의 각 행을 두 번째 테이블의 모든 행과 결합한다.
결과는 첫 번째 테이블의 행 수와 두 번째 테이블의 행 수의 곱만큼의 행을 가지게 된다
하나의 테이블 내에서 자기 자신과 조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테이블 내의 다른 행들 간에 관계를 파악하거나 비교할 때 유용하다.
하나의 SQL 문에 포함되어 있는 또 다른 SQL 문
서브 쿼리는 괄호 () 안에서 사용한다.
서브 쿼리 실행 -> 메인 쿼리 실행
위치에 따라서 다르게 불린다.
SELECT col1, (SELECT ...) // 스칼라 서브 쿼리(Scalar Sub Query): 하나의 컬럼처럼 사용 (표현 용도)
FROM (SELECT ...) // 인라인 뷰(Inline View): 하나의 테이블처럼 사용 (테이블 대체 용도)
WHERE col = (SELECT ...) // 중첩 서브 쿼리: 서브쿼리의 결과에 따라 달라지는 조건절(=, in, any, ...)
1. 스칼라 서브 쿼리
하나의 튜플만 조회 가능하다.
테이블에서 값을 가져올 때 사용한다.
2. 인라인 뷰
FROM 절에 사용되는 서브 쿼리(인라인 뷰)는 반드시 as 명칭을 지정해줘야 한다.
3. 중첩 서브 쿼리
어떤 조건 문을 사용하냐에 따라서 서브쿼리의 결과가 바뀐다.
단일 행(=, >, ...) - 서브 쿼리의 결과 값이 하나여야 한다.
복수 행(any, in, ...) - 서브 쿼리의 결과 값이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선택된 행을 업데이트 하기 위해 잠그는 데 사용된다.
-> 잠긴 트랜잭션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트랜잭션에서는 해당 행을 수정할 수 없다.
동시 환경에서의 데이터 일관성을 제어하고 보장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응용 프로그램 보안 상의 허점을 이용해, 악의적인 SQL문을 실행되게 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비정상적으로 조작하는 공격 기법
예시
sql = "SELECT * FROM users WHERE name = '" + name + "'";
select * ...
사용
모든 컬럼을 선택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를 불러오게 되어 메모리 사용량을 높일 수 있다.
-> 필요한 컬럼을 명시적으로 선택하자
비효율적인 ORDER BY 사용
ORDER BY 절은 정렬 작업을 수행하므로, 비효율적으로 사용할 경우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 정렬이 필요없는 경우 ORDER BY를 생략하자
문자열 연결로 동적 쿼리 생성
SQL 인젝션 공격에 취약
-> 문자열 연결 대신 파라미터화 된 쿼리 등을 사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