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nnago 여행의 성격을 나타내는 컨셉을 만들어 여행지를 기반으로한 버킷을 담아 관리하는 여행 관련 서비스 > # 폴더 구조 > # 유저 다이어그램 > # 요청 흐름도
프론트 입장에서는 status code를 받았을 때 대략적인 상태만 인식하지만 상세사항은 알지 못하여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다.ex)401코드를 받았을 때 권한문제인 것을 인지는 하지만 이것이 token이 없어서인지,token이 만료되어서 인지,토큰의 형식이 옳바르지
동영상을 제공시 Resource를 사용하여 제공하면 버퍼되지 않은 재생시간에 대해서는 재생이 불가능하다.위와 같이 빨간 화살표 영역은 버퍼되지 않았기 때문에 클릭을 해도 재생이 불가특정 사용자가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소비하는지에 대한 관찰이 어렵다.유튜브 같은 경우 프
프론트 입장에서 매번 백엔드의 response형태가 다르고 내부 상태코드 및 설명을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일관된 형태의 필요성을 느낌모든 request에 controller에서 형태를 바꾸기 보다는 controller밖에서 최종적으로 response형태를 바꿔줄 수 있는
동영상에서 초당 1프레임 단위로 잘라 썸네일 이미지를 만들어야 하므로 단순 구현으로는 시간이 오래걸림모든 초에서의 작업이 끝날때까지 기다려야하므로 부분적인 동기화 작업이 필요Runnable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를 통해 멀티쓰레드 작업으로의 전환시작한 쓰레드 작업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