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 기초

Sean yang~~·2022년 5월 7일
1

자바스크립트

목록 보기
2/25
post-thumbnail

<변수 선언>

  • 주석 (슬래시 //) 를 하면 결과에 나타나지 않는다 즉, 프로그램이 읽지않는다. 만약 코드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때 주석을 쓰면 웹상에 나타나지 않는다.

  • 좋은 코드, 잘만들어진 코드는 좋은 주석을 가지고 있는 코드이다. 길지도 않고 짧지도 않은 코드가 좋은코드이다.

  • 정말 좋은코드는 쉬운코드 가독성이 좋은 코드이다....

  • 줄바꿈을 하기 전까지가 주석이다.

/* */
이것도 주석이다 . 사이다 여려개의 줄이 들어가도 주석이다. 브라우저가 해석하지 않는다. 어떤코드를 일지석으로 사용하고 싶지 않을때도 사용가능.

줄바꿈과 여백

  • 세미클론 (;)은 명령이 끝났다는것 명시적으로 사용할때, 세미클론이 없어도 작동한다.
  • 자바스크립트는 줄이 바뀌면 명령이 끝났다고 간주한다. 세미클론 쓰는건 좋은습관이다!!!!!
  • 탭(tab) 키를 쓰는 이유는 가독성을 높여주기 위해서...

비교

  • 값과 값을 비교할때 쓴다.
  • '='는 우항의 값인 1을 좌항의 변수 a에 대입하는 '대입 연산자'다.
  • 연산자란 어떤작업을 컴퓨터에 지시하기 위한 기호.
  • 대입연산자는 같은것
a = 1
  • 연산자란 어떤작업을 컴퓨터에 지시하기 위한 기호.

비교연산자

  • 비교란 주어진 값들이 같은지, 다른지, 큰지, 작을지를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비교연산자를 사용하는데 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true나 false 중의 하나이다.
  • true는 비교 결과가 참이라는 의미이고, false는 거짓이라는 뜻이다.

== (equl operator)

  • 동등연산자로 좌항과 우항을 비교해서 서로 값이 같다면 true 다르다면 false가 된다.
  • == 두개인것을 주의해야된다. =가 하나인것은 대입연산자로 좌항의 값을 우항의 변수에 대입할때 사용하는 것으로 의미가 완전 다르다.
alert (1==2)    // false
alert (1==1)    // true
alert ("one"=="two")    // false
alert ("one"=="one")    // true
코드를 입력하세요

=== (strict equl operator)

  • 좌항 우항의 값이 정확하게 같을때 true, 다르면 false가 된다.
  • 숫자도 똑같고 데이터 형태(숫자형, 문자형)도 같을때!! 똑같다고 설명한다.!!
  • 에러방지를 위해 정확하게 해야된다.
alert(1=='1');       //true
alert(1==='1');      //false코드를 입력하세요
alert(null == undefined);     //true
alert(null === undefined);    //false
alert(true == 1);             //true
alert(true === 1);            //false
alert(true == '1');           //true
alert(true ==='1');           //false


alert(0 === -0);              //true
alert(NaN === NaN);           //false코드를 입력하세요
  • null과 undefined는 값이 없다는 의미의 데이터형이다. null은 값이 없음을 명시적으로 표시한 것이고, undefined는 그냥 값이 없는 상태라고 생각하다.
  • NaN은 0/0과 같은 연산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특수한 데이터 형인데 숫자가 아니라는 뜻이다.

<데이터 타입>

  • true/false는 데이터의 형식 이걸 boolen이라고 부른다.
  • 0, -1, 1, 2, 3 (number)
  • "a" "b" "c" (string 문자열)
  • undefined는 undefined라는 데이터 타입 null은 null이라는 데이터타입.

!=

  • '1'는 부정을 의미한다.
alert(1!=2);     //true
alert(1!=1);     //false
alert("one"!="two");   //true
alert("one"!="one");   //false
코드를 입력하세요

!==

  • !==는 !=와 ==의 관계와 같다. 정확하게 같지 않다는 의미다.

>, >=

  • 좌항이 주항보다 크다면 참 그렇지 않다면 거짓임을 알려주는 연산자다. <도 똑같은 원리
  • = 좌항이 우항보다 크거나 같다. <= 똑같은 원리

profile
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