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 의존성 주입 (DI)

원서연·2023년 11월 23일
0

Intro

📌의존성 주입을 할 때 기본적으로는 @Autowired를 사용하는 것이다.

📌해당 객체가 빈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의존성 주입이 가능하다.

스프링의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방식 3가지

  • @Autowired 속성 - 속성에 @Autowired 애너테이션을 적용하여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
    • 필드 주입
    • 해당 필드에 @Autowired 지정.
  • 생성자 - 생성자를 작성하여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 (권장하는 방식)
    • 생성자 주입
      • 생성자에 @Autowired를 지정하여 구현하는 기본적인 방법
      • 💡@RequiredArgsConstructor, final 키워드, 단 하나의 생성자. 이 세 조합으로 깔끔히 구현하는 방법. (생성자가 1개이면 @Autowired를 생략이 가능한 원리)
  • Setter - Setter 메서드를 작성하여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 (메서드에 @Autowired 애너테이션 적용이 필요하다.)
    • Setter 주입
profile
웹 백엔드 프로그래밍 Today I Learne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