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1)

김성수·2022년 12월 2일
0

SEB_BE

목록 보기
21/31

Amazon Web Service

EC2(Elastic Compute Cloud)

주의 욕아님!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 컴퓨팅 서비스

  • Elastic = 탄력(신축성)있는, 유연한

EC2 서비스는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탄력적인이라는 의미의 Elastic이라는 단어가 붙었다.
비용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성능, 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도 있다.

EC2 서비스는 AWS에서 비용,성능,용량 면에서 탄력적인 클라우드 컴퓨터를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EC2 서비스의 장점

  1. 필요한 시간이 짧다.
  2. AMI를 통해서 필요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운영체제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다.
  3. 운영체제뿐만이 아니라 CPU와 RAM, 용량 까지도 손쉽게 구성가능하다.

컴퓨터를 한 대 빌리는 것이므로 컴퓨터로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할 수 있다.(빌린 한대의 컴퓨터를 인스턴스라고 하고, AWS에서 컴퓨터를 빌리는 것을 인스턴스를 생성한다라고 한다.)
EC2를 통해서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일은 웹서버를 설치하고, 웹 서버를 통해서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는 것이다.

AMI(Amazon Machine Image)

소프트웨어 구성이 기재된 템플릿.
다양한 템플릿들이 제공된다.
사용용도에 맞게 운영체제, 런타임 등이 구성된 Setting을 선택할 수 있다. 상당히 많은 양의 Image가 AWS에 미리 준비되어 있으며, 선택된 image를 바탕으로 Instance의 운영체제가 결정된다.

  • 인스턴스는 선택한 AMI를 토대로 구성된다.
  • AWS에는 상당히 많은 양의 AMI 세팅이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손쉽게 인스턴스의 운영체제를 구성할 수 있다.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다는 것은 AMI를 토대로 운영체제, CPU, RAM 혹은 런타임 등이 구성된 컴퓨터를 빌리는 것이다.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

만약 EC2에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해서 데이터를 관리한다면, 데이터베이스 규모확장, 가용성, 내구성 확보, 데이터 백업, 데이터 베이스 설치/관리 등 데이터 베이스와 관련 된 모든 것들을 개인 운영자가 해야한다.

하지만, RDS를 사용하면 이를 AWS가 관리해주기 때문에, 편의성을 많이 느낄 수 있다.

RDS 장점

  • 사용자가 하는 일은 초기 설정을 제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일 밖에 없어 편리하다.
  •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 선택지를 제공한다. 필요와 목적에 맞게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면 된다.

S3(Simple Storage Service)

잠깐.
Cloud Storage를 알아야하는데, 클라우드 스토리지란 인터넷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 예) Google Drive, 네이버의 MyBox, 마소의 Onedrive 등.

장점으로는 뛰어난 접근성이 있다.

S3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S3의 이점

  1. 높은 확장성
    • 확장성이 높으면 많은 시간과 수고를 들이지 않고 스토리지 규모를 확장/축소할 수 있다.
    • 스토리지의 용량을 무한히 확장할 수 있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되기 떄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2. 높은 내구성
    • 내구성이 높으면 저장된 파일을 유실할 가능성이 적다.
  3. 높은 가용성
    • 가용성이 높으면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들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진다.
    • AWS에는 Region(리전)이라는 것이 있다.
      • 리전은 클라우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운영하는 물리적인 서버의 위치를 뜻한다.
      • 그리고 각 리전마다 가용 영역이 있다.
        •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이란, 각 리전 안에 존재하는 데이터 센터를 뜻한다.
      • 가용 영역은 각각 개별적인 위치에 떨어져서 존재한다. 이로 인해서 한 곳의 가용 영역이 재난이나 사고로 인해 가동이 불가능해지더라도 다른 가용 영역에 백업을 해놓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제 없이 서버가 가동되게 한다.
  4.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를 제공한다.
    • 저장소를 어떤 목적으로 활용할지에 따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스토리지 클래스가 달라지낟.
    •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클래스
      • Standard 클래스
        • 범용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좋다.
        • 데이터에 빠른 속도로 접근할 수 있다.
        • 데이터 액세스 요청에 대한 처리 속도가 빠르다.
        • 데이터를 오래 보관하는 목적으로는 효율적인 선택지는 아니다. 보관 비용이 높게 발생한다.
      • Glacier 클래스
        • 장기적인 보관 목적으로 사용할 때 효율적
        • 저장된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속도는 느리지만, 데이터를 보관하는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 이 외에도 여러가지 스토리지 클래스가 존재한다.

5,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이 가능하다.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이란?
    • 정적 파일
      • 서버의 개입 없이 생성된 파일,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어, 서버가 요청에 맞추어 생성한 파일을 동적파일이라고 한다.
    • 웹 호스팅(Web Hosting)
      • 서버의 한 공간을 임대해주는 서비스
      • S3엣는 버킷이 사용자들이 정적 웹 사이트를 배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 버킷이라는 저장 공간에 정적 파일을 업로드하고 버킷을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용도로 구성하면 정적 웹 사이트를 배포할 수 있다.
  • 버킷?
    • 버킷은 S3에 저장되는 파일이 담기는 바구니(최상위 디렉토리)
    • S3에 저장되는 모든 파일은 버킷 안에 저장되어야 하며, 무한히 많은 파일을 저장 가능하다.
    • 버킷의 이름은 버킷이 속해있는 리전(버킷이 생성된 지역)에서 고유해야 한다.
    • 버킷의 정책을 생성하여 엑세스 권한을 부여 가능하다.
    • 버킷에 담기는 파일을 객체라고 부른다.
  • 객체
    • S3에 저장되는 객체는 파일과 메타데이터로 구성된다.
      • 파일
        • 파일은 키-값 페어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
        • 파일의 에는 실제 데이터를 저장한다.
        • S3 객체의 으로써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는 5TB이다.
        • 파일의 는 각각의 객체를 고유하게 만들어주는 식별자 역할을 한다. 이 키를 이용해서 원하는 객체를 검색할 수 있다.
      • 메타데이터
        • 객체의 생성일, 크기, 유형과 같은 객체에 대한 정보가 담긴 데이터.
        • 객체를 설명하는 데이터.
    • 모든 객체는 고유한 URL주소를 가지고 있다.
    • URL주소는 http://[버킷의이름].S3.amazonaws.com/[객체의 키]의 형태를 띤다.
    • URL 주소를 통해서도 원하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Deploy Strategy

개발한 서비스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배포라고 한다.
AWS에서 제공하는 S3 서비스로 사용자들에게 client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를 제공할 때, 클라이언트 앱을 정적 파일로 빌드해서 제공하는데 S3을 이용해서 클라이언트를 배포한다.

빌드

불필요한 데이터를 없애고, 통합/압축하여 배포하기 최적화된 상태를 만드는 것. 그렇다보니, 빌드를 진행하기 전과 비교했을 때 데이터의 용량이 줄어들고 웹 사이트의 로딩 속도가 빨라진다는 장점이 있다.

S3로 사용자들에게 서비를 제공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지구 반대편에 있다면 어떻게 빠르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까?

AWS에서 제공하는 CDN 서비스인 CloudFront를 통해서 각지의 데이터센터에 데이터를 분산시켜서 저장해두고 가까운 지역에서 데이터를 주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더 빨그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제공받은 Client App을 통해서 요청전달할 떄, Server Application은 어떻게 배포해야할까?

  • AWS Ec2 서비스를 통해서 서버를 구성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AWS가 유지보수 작업을 담당하는 RDS를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즉시 사용 가능하다.
  • RDS 서비스를 이용해서 EC2로 배포된 ServerApplication의 데이터를 저장,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배포할 수 있다.

AWS에서 제공하는 Rout53 서비스를 이용하면 직관적인 도메인 주소를 통해서 서비스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profile
쌩수 Git >> https://github.com/SsangSoo?tab=repositories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