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기초 정리.2

BodeulMaNN·2022년 12월 9일
0

Python

목록 보기
2/8

실수의 활용, 변수 및 변수 입력, split, map 함수

실수값은 정확히 표현한 값대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랜덤한 오차가 발생한다.

>>> 4.3 - 2.7
1.5999999999999996
또한 실수+정수값은 표현범위가 넓은 실수로 표시된다.

> 4.2 + 5 == 9.2
>>>float(5)
5.0
>>>float(1+2)
3.0
>>> float('5.3')
5.3
타입값 확인
>>> type(3.5)
<class 'float'>
변수와 입력 사용하기
>>> x, y, z = 10, 20, 30
>>> x
10
>>> y
20
>>> z
30
>>> x = y = z = 10
>>> x
10
>>> y
10
>>> z
10
> 변수와 값의 개수가 다르면 오류가 발생한다.
>>> x = None
>>> print(x)
None
>>> x
>>>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음)
> 파이썬이 아닌 다른 언어에서는 None이 아닌 null로 표현된다.

파이썬 프롬프트(prompt)

기본적으로 str(문자열)로 입력받음

>>> x = input('문자열을 입력하세요: ')
문자열을 입력하세요: Hello, world! (입력)
>>> x
'Hello, world!'
str이 아닌 int 및 float로 입력받고 싶다면

a = int(input("입력값: "))
b = float(input("입력값: "))
split() 괄호 안에 입력 된 것을 기준으로 분리, 비워 둘 시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

a, b = input('문자열 두 개를 입력하세요: ').split() # 입력받은 값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
공백이 아닌 다른 문자를 기준으로 분리하고 싶다면

a, b = map(int, input('숫자 두 개를 입력하세요: ').split(',')) # 입력받은 값을 콤마를 기준으로 분리

print(a + b)
입력받은 값은 str(문자열) 형식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정수형 혹은 실수형으로 입력하려면

a, b = input('숫자 두 개를 입력하세요: ').split() # 입력받은 값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
a = int(a) # 변수를 정수로 변환한 뒤 다시 저장
b = float(b) # 변수를 정수로 변환한 뒤 다시 저장

print(a + b)
or print(int(a) + int(b))

해당 방식으로 따로 변환해주거나 혹은 map()함수를 사용해준다.

	a, b = map(int, input('숫자 두 개를 입력하세요: ').split())

print(a + b)

profile
반갑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