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7일차(2) 이클립스

최성현·2023년 6월 23일
0

Java

목록 보기
10/46

배열 노트정리

int[] score=new int[5]; //5개의 int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배열을 생성

score => score[0] score[1] score[2] score[3] score[4] => index 값은 0 1 2 3 4

  1. 배열선언 char[] ch; || char ch [];
  2. 배열생성 ch=new char[4];
  3. 배열초기화 ch[0]='J';ch[1]='a';ch[2]='v';ch[3]='a';

<배열 저장 후 읽어오기>

score[3]=100; //배열 score의 4번째 요소에 100 저장
int value=score[3];// 배열 score의 4번째 요소에 저장된 값을 읽어서 value에 저장

'배열이름.length'는 배열의 크기를 알려줌
int[] score= {0, 1, 2, 3, 4, 5};

for(int i=0; i<6; i++)
{
System.out.println(score[i]); //배열 갯수는 6개이고 0 1 2 3 4 5 index 값
}

기본형 배열(for~each포함)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기본형 배열은 객체로 인식
		
		int[] arr1,arr2; //arr1 이라는 배열과 arr2라는 배열 선언
		arr1=new int[3]; //[]안에 갯수를 주어줘야 메모리 할당 가능
        				 //[]안에 있는 수는 index 갯수
		//==int[] arr1= new int[3];
		arr2=new int[5]; //할당만 되도 각 index값은 0으로 초기화됨
		//==int arr2[]=new int[5];
		
		//arr1 배열에 값을 넣는다
		//arr1 index0~index2까지 값을 넣어줌
		arr1[0]=10;
		arr1[1]=5;
		arr1[2]=20;
		
		//배열의 갯수
		System.out.println(arr1.length);//길이3(index0~2)
		System.out.println(arr2.length);//길이5(index0~4)
		
		System.out.println("arr1 출력");
		System.out.println(arr1[0]);
		System.out.println(arr1[1]);
		System.out.println(arr1[2]);
		
		System.out.println("for문으로 arr1출력");
		for(int i=0;i<3;i++)
		{
			System.out.println(arr1[i]); //i는 배열의 index값
		}
		
		System.out.println("for문으로 arr1출력_범위를 변수화");
		for(int i=0;i<arr1.length;i++) //배열의 index 0~x 는 배열의 길이보다 작다
		{
			System.out.println(arr1[i]);
		}
		
		//arr2 를 출력해보는데 범위를 변수화한 for문으로 출력해보세요
		System.out.println("for문으로 arr2출력_범위를 변수화");
		for(int i=0;i<arr2.length;i++)
		{
			System.out.println(arr2[i]);
		}
		
		//for~each 무작정 출력
		//아래 수식은 배열 안에 값을 다 뽑아냄
		//foreach(배열변수자료형 임의의이름 : 배열변수명)
		System.out.println("for each_arr1");
		for(int a1:arr1) //int a1:arr1 arr1이라는 배열을 a1에 대입할게
		{
			System.out.println(a1);
		}
		
		
		System.out.println("for each_arr2");
		for(int s2:arr2)
		{
			System.out.println(s2);
		}

	}

문자배열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문자배열
		
		String[] str=new String[4]; //선언과 함께 배열갯수지정
									//기본적으로 string에 값을 안넣어주면 null값이 들어감
		//초기화
		str[0]="최진평";
		str[1]="고은비";
		str[2]="김영환";
		str[3]="홍성경";
		
		//출력
		System.out.println("for문 출력");
		for(int i=0;i<str.length;i++)
			System.out.println((i+1)+":"+str[i]);
		
		System.out.println("for~each문 출력");
		for(String s:str)
			System.out.println(s); 

	}

배열선언하면서 초기값을 동시에 저장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 arr= {5,7,8,9,12,23,56,47}; //배열 선언과 동시에 초기값 선언
		
		System.out.println("개수: "+arr.length);
		
		System.out.println("출력_1:    1 ==> 5");
		for(int i=0;i<arr.length;i++)
			System.out.println((i+1)+" ==> "+arr[i]);
		
		
		System.out.println("출력_2");
		for(int s:arr)
			System.out.println(s);
		
	}
profile
백엔드 개발자로서 성장해 나가는 성현이의 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