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v.0 [다음에 올 숫자] (정답률 하위 TOP 10)

세나정·2023년 4월 23일
0

내 풀이

등차수열은 원소 한 개간의 차이가 같기 때문에 (주어진 배열의 길이는 무조건 3이상)
1,2 와 2,3을 비교하여 등차인지 판별하고 마지막 인덱스값에 + 공차를 더해주는 방식을 활용하였고

등비수열은 등비를 구한 후 마지막 값에다가 곱해주는 식으로 구하였다.
전반적으로 쉬웠던 문제인데 고려해야할 TC가 많았기에 제출 하려다가 정답률이 낮아진듯함

function solution(common) {
    // 공차수열 인지 공비수열인지를 파악하려면
    // 적어도 3개 이상의 원소가 필요하다.

    // 공차수열은 하나 떨어진 원소간의 차는 전부 같다.
    
    if (common[2] - common[1] === common[1] - common[0]) {
        return common.pop() + common[1] - common[0]
    } else {
        return common.pop() * (common[1] / common[0]);
        
    }
    
}
profile
기록, 꺼내 쓸 수 있는 즐거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