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넷 : 기기끼리 연결하는 LAN의 네트워크 규격
동축케이블 : 버스형의 모선으로 심선이 한 줄이고 주위에 나일론 절연체, 바깥쪽은 망선으로 덮여있음 -> 텔레비전 안테나의 케이블도 동축 케이블이라고 함
보통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조합해서 사용하고 LAN같은 소규모 네트워크가 아닌 이상 복합협 토폴리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임
ex) 휴대전화망 - 기지국은 스타형, 기지국끼리는 메시형 라인형 등등
WAN : Wide - 건물 내부와 외부
가장 기본적인 LAN은 기기가 허브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하고 이것을 하나의 세그먼트라고 함
하나의 LAN을 다른 LAN과 연결할 땐 라우터를 이용 (라우터는 LAN끼리 연결하는 기기 -> 공유기)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주요 장치 및 도구
따라서 현재 통신 네트워크는 거의 직렬이고 직렬전송은 이론상으로 신호선 하나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지만 보통은 송신용(Tx)과 수신용(Rx) 신호선 이렇게 2개를 사용함
통신할 땐 시작, 종료 비트가 존재해야 0이 계속 되는 데이터여도 이게 진짜 통신중인지를 알 수가 있음 -> 이처럼 시작과 종료 신호를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비동기 통신이라고 함 (프로그래밍이랑은 다른듯?)
반면에 클럭이라는 동기신호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보내는 건 동기 통신이라고 함 -> 클럭 신호는 시계의 초침처럼 일정한 간격으로 보내는 신호
신호와 데이터는 클럭 신호의 펄스에 맞춰 전송 (펄스형 : 일정간격으로 반복되는 파형의 신호상태)
신기한 컬럼 - 키보드 숫자 패드와 핸드폰 숫자 패드의 차이
초기에 전화번호는 펄스신호를 발신하는 횟수를 나타내며 숫자를 의미하진 않았음
예전에 회전식 다이얼 (손가락을 넣고 돌리는 것) -> 0은 1이 아니라 9다음에 배치가 되었음 그래서 이 다이얼에서 쓰던 게 (9다음 0이 나오는 것) 그대로 이어져서 휴대폰에까지 이어지게 된 것
하지만 전화가 아닌 아닌 계산기나 컴퓨터는 그대로 숫자따라 0~9식으로 하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