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rn add @mui/icons-material
필요한 경로에 설치해야한다. 여기서는 client
코드 템플릿에 있는 css 부분 모두 복붙한다.
AppBar에 해당하는 부분도 출력 코드 상단에 추가한다.
mui 컴포넌트라 아닌 놈들은 sx가 안먹으니 style로 먹인다.
상단에 추가한다.
@import url(http://fonts.googleapis.com/earlyaccess/notosanskr.css);
"Noto Sans KR을 최고 우선순위 폰트로 설정한다.
body {
margin: 0;
font-family: "Noto Sans KR",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egoe UI', 'Roboto', 'Oxygen',
'Ubuntu', 'Cantarell', 'Fira Sans', 'Droid Sans', 'Helvetica Neue',
sans-serif;
-webkit-font-smoothing: antialiased;
-moz-osx-font-smoothing: grayscale;
}
테마 관련 라이브러리를 불러오는데 중괄호로 감싸야한다.
import { createTheme } from '@mui/material/styles';
import { ThemeProvider } from '@mui/material/styles';
테마를 설정하고
const theme = createTheme({
typography: {
fontFamily: '"Noto Sans KR", serif',
}
});
App 또한 ThmeProvider로 감싸야한다.
<ThemeProvider theme={theme}>
<React.StrictMode>
<App />
</React.StrictMode>
</ThemeProvi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