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는 기본적으로 후불 결제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결제를 막기 위해 AWS Cost Explorer
를 자주 확인해야한다.
DB 생성
- RDS를 검색 후 DB 생성 버튼 클릭
- 프리티어 선택하고 MySQL 선택
- DB 버전 선택
- 가장 저렴한 인스턴스구성 선택
- 스토리지 할당 기본 크기로 설정
- DB 인스턴스 식별자 설정
- 마스터 사용자 이름 설정(ex. user) <- DB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이름
- 마스터 암호 설정 <- 암호로 DB에 접근
- 퍼블릭 액세스 -> 예
- 포트번호 등도 기본 설정으로 이용
- 추가 구성의 DB 이름 설정
- DB 생성 버튼 클릭
생성 확인
"DB 인스턴스 세부정보 보기"를 통해 DB가 성공적으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12월 기준으로 이름을 클릭하면 세부정보를 볼 수 있다.
한글 사용 확인 (UTF-8)
파라미터 그룹 생성
- 파라미터 그룹 클릭
- 파라미터 그룹 생성
2-1. 파라미터 그룹 설정
2-2. 그룹 이름, 설명 작성
- 생성한 파라미터 그룹 설정을 위해 이름 클릭
3-1. 편집 버튼 클릭
3-2. char 입력 후 나오는 항목에 utf8을 모두 적용(가능한 것만)
3-3. 변경사항 저장
3-4. collation 입력 후 나오는 모든 항목에 utf8_general_ci 적용(가능한 것만)
3-5. 변경사항 저장
파라미터 그룹을 DB에 적용
- 원하는 DB의 상세로 들어간다.
- 수정 버튼 클릭
- DB 파라미터 그룹에 원하는 그룹 설정 후 "계속" 클릭
- 즉시 적용 선택 후 DB 인스턴스 수정 클릭
재부팅 해서 완전히 반영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참고
DB 생성후 잠시간은 수정가능한 상태가 아니게 된다. 따라서 DB 생성 이전에 파라미터 그룹을 설정하고 DB 생성 시에 바로 파라미터 그룹 설정하는 방법도 있다.
MySQL Workbench 연결
- 워크벤치 열고 +버튼 누른다.
- 이름 입력
- 호스트 이름에 해당 DB의 접속 URL이 들어가야한다.
3-1. RDS 콘솔에서 엔드포인트의 주소를 복붙한다.
- 사용자 이름에는 DB 만들때 설정한 사용자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 보안그룹 확인이 필요하다.
5-1. 소스 0.0.0.0/0으로 설저하고 포트도 3306으로 설정한다.
- DB 연결을 완료한다.
해당 인스턴스를 더블클릭하면 정상적으로 접속됨을 알 수 있다.
이제 DB를 이용할 수 있다.
보안그룹
AWS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방화벽
인바운드 규칙에서 해당 DB로의 접속하고자 하는 사람의 source에 대해 관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소스는 고정되어있다.(중요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격리한 것)
우리는 누구나 접근 가능하게 하기 위해 0.0.0.0/0으로 설정한다.
기존 참조된 그룹 ID 규칙에 an IPv4 CIDR을(를) 지정할 수 없습니다.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데
기존의 규칙을 삭제하고 추가하면 해결된다.
DB 사용 테스트
USE management;
SELECT VERSION();
정상 출력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