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덕스 상태 관리 순서상태가 변경되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변경될 상태에 대한 정보가 담긴 Action 객체가 생성됩니다.이 Action 객체는 Dispatch 함수의 인자로 전달됩니다.Dispatch 함수는 Action 객체를 Reducer 함수로 전달해줍니다.
UI사람들이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GUI(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사용자가 그래픽을 통해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하는 작업 환경UX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는 총체적
REST_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웹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자원(Resource)을 HTTP URI로 표현하고,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요청과 응답을 정의하는 방식어떻게 하면 적절한 REST API를 디자인할 수 있을까?\->
프로토타입 체인 상속extends와 부모 클래스를 상속받음, super키워드는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 함수를 호출할때 사용함\-> 메서드는 오버라이딩되어 bee에서도 eat메서드를 사용가능함\-> (https://velog.io/@bigbrothershin/Ja
객체지향프로그래밍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등장하기전에는 절차지향 프로그래밍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등장으로 데이터의 접근과,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 대한 모형을 만들어 내는 방식을 고안했고따라서, 데이터와 기능이 별개로 취급되지 않고, 한 번에 묶여서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클래스와 인스턴스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하나의 모델이 되는 청사진(설계도/클래스)을 만들고,그 청사진을 바탕으로 한 객체(특정한 모델/인스턴스(객체))를 만드는 프로그래밍 패턴객체는 => 그냥 일반적인 함수를 정의하듯 만드는데, 함수를 이용하는
shift, unshift, pop, push는 원본을 건드린다 <-> 그래서 slice(0)을 써서 값을 복사해서 쓰는거임클로저; 외부함수의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내부함수로 상위스포크 변수를 재사용하기 위해 활용한다선언을 하면 호이스팅이 되게 된다파라미터를 전
원시자료형은 값을 저장하고, 변수에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참조자료형은 데이터가 담긴 저장소의 주소를 변수에 저장한다즉, 변수에는 원시 값 혹은 주소만 지정할 수 있고 주소는 크기가 변하는 특별한 데이터 저장소를 참조하게 된다.실제로 참조자료형의 데이터가 담긴 곳을
특정한 값의 타입 확인하기개념학습을 통해 JavaScript의 여러 타입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그런데 만약, 특정 값의 타입을 잘 모를 때는 어떻게 확인하면 될까요? JavaScript에는 typeof 연산자로 타입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typeof 연산자 사용
JavaScript -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MS - JScript두 언어는 서로 호환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가 발생.크로스 브라우징 이슈기능이 모든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동작하지 않는 이슈\-> 그래서 JavaScript를 표준화함 -> ECMA
JavaScript의 자료형과 JavaScript만의 특성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자바스크립트의 변수는 어떤 특정 타입과 연결되지 않으며 모든 타입의 값으로 할당 및 재할당 가능하다느슨한 타입의 동적 언어이기 때문에 변수생성시
https://webclub.tistory.com/638정말 정리 잘 한 글인데 검색 최상단에 노출안되는 것이 의아하다
WIL을 거창하게! 쓰고싶지만 우선 내가 이해할 수 있는 만큼만 이해하고 내 방식대로 쓰겠다..!로그인기능등을 구현할 수 있다인증을 통해 서비스는 유저를 검증할 수 있음 \-> 인증방식을 만들려면 쿠키 세션 토큰 JWT를 알아야한다!쿠키 : 쿠키를 이용해서 서버는 브라
어떤 정보에 이름을 붙여서 저장하고 싶어서 사용1-1. 변수 = 예) name = "MIKE"하지만 위 방법은 문제가 있다.name = "MIKE";name = "google";이렇게 두 번 선언될 경우 마지막에 선언된 변수로 뒤덮이게 된다.그래서 아래의 방법을 사용하
개발자의 학습법 - 학습과 적용의 경계가 없음. 적용하기 위해서 찾고 어떤 걸 배울지 스스로 설계해서 배워야함."detect early" "feedback&adapt"가설 - 실험 - 검증 - 가설 - 실험 - 검증 - .....의도 "어? 이렇게 다르게 해봤더니 이
https://docs.github.com/enhttps://github.com/k88hudson/git-flight-rules/blob/master/README_kr.mdhttps://docs.github.com/en/get-started/
\[10+ Hamburger Menu Examples CSS Only](https://alvarotrigo.com/blog/hamburger-menu-css/
애초에 코딩 이렇게 배울걸.. 딱 100일만 이렇게 해봐개발자로 일해오셨던 팀원분이 감사하게도 추천해주신 영상, 그냥 들으면 흘려듣고 말 것 같아서 대충 요약해봄1.마인드셋1-1. 모르는 것을 찾는 방법코딩선배인터넷문제점과 관련된 코딩문서 읽기로그읽는법과 디버깅하는 법
token = jwt.encode(payload, SECRET_KEY, algorithm='HS256').decode('utf-8')최근에 pyjwt 라이브러리가 대대적인 업데이트를 겪으면서 이 코드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한다.기존 버전에서는 jwt.encode()함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