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Google에서는 Material Theme를 권장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새 프로젝트 생성하면 자동으로 Material Theme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하지만 Material Theme로 설정한 상태에서 Button을 디자인하려면 b
찰스의 안드로이드 컨퍼런스에 참석한지 두 달만에 코엑스에서 열린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석하고 뒤늦은 후기를 올려본다.2023년 07월 29일 (토)에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4층에서 GDG Seoul, GDG Cloud Korea, 그리고 GDSC에서 주최한 개발자 컨퍼
현생에 이리저리 치이다가 조금 늦게 참가 후기를 올려본다.함께 참여할 인원을 꾸리기가 어려워 개인으로 참가하길 원했지만, 팀 단위로만 신청 가능했고 해커톤 모집글을 찾아보거나 직접 모집글도 올려보기도 했는데도 별다른 소득이 없어서 참가하지 못할 것이라는 걱정이 앞섰다.
위의 방법으로 EditText의 text를 설정하려는 데 아래와 같이 에러가 발생했다.Type mismatch.Required: Editable!Found: StringEditable type이 들어가야 하는데, String을 넣어서 타입이 맞지 않았다.Editable
Hilt를 적용하고 이것저것 Hilt 관련 설정을 한 다음에 앱을 빌드하면 아주 가끔 마주칠 수 있는 에러다.내 경우 이 에러는 액티비티 파일 위에 @AndroidEntryPoint를 써주지 않아서 발생했다. 어노테이션을 써주니 곧바로 해결됐다.
resources.getDrawable(id: Int) 메소드는 API 22에서 deprecated 되었습니다.resources.getDrawable(id: Int) 메소드 대신에 resources.getDrawable(id: Int, theme: Theme)를 사용하
org.xml.sax.SAXParseException; systemId: file:/C:/Users/User/AndroidStudioProjects/android/app/src/main/res/layout/activity_main.xml; lineNumber: 1; c
Java에서 두 배열을 비교해야 하는 경우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동일하다고 판단한다.두 배열은 모두 동일한 타입입니다.두 배열은 동일한 수의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정렬 순서도 동일해야 합니다.주소 값이 아닌 기본 타입의 값을 비교합니다.두 배열이 null로 할당되면
프로젝트에 즐거움을모두에게 기회를DND 9기 지원 및 합격 후기에 대해 남겨보려고 합니다.DND는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모여 8주간 하나의 프로덕트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팀을 구성해주는 연합 동아리입니다.이전부터 다양한 IT 연합 동아리에 대해 많이 알아보고 있었고, D
AndroidManifest에서 android:screenOrientation="portrait"를 사용하면다음과 같은 에러 아닌 경고가 발생한다.Expecting 'android:screenOrientation="unspecified"' or '"fullSensor"
코딩을 할 때 코드의 흐름 및 프로그램 오류를 파악하기 위해 앱 외부로 출력하는 정보디버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매번 디버깅할 포인트를 지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로그를 사용하면 한 번 설정으로 항상 해당 코드의 흐름을 쉽게 확인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는 총 5가지의
EventBus는 publisher/subscriber 패턴으로 구현된 쉽게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Java 기반의 Android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입니다.첫 배포 버전인 1.0.1은 놀랍게도 2012년에 출시가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계속 유지보수가 되고 있습니다
Service는 Activity가 종료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동작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컴포넌트다.앱이 종료되어도 서비스는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된다.만약 Service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라면, 안드로이드 OS 에서는 해당 Process를 왠만하면 죽이지 않도록 방지하
네이티브 앱만 개발해보다가 느낀 것은 네이티브 앱이 너무 많다는 것이었다. 모바일만 하는 것으로는 앞으로 성장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웹에 대한 공부도 많이 해야할 생각이 들었고 그래서 크로스플랫폼에 대한 도전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크로스 플랫폼
프로그래밍에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자료구조에는 "그래프"가 있습니다. 그래프는 정점과 간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간선을 통해서 모든 정점을 방문하는 것을 그래프를 탐색한다고 합니다.위에서 언급했듯이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에는 대표적으로 깊이 우선 탐색(DFS), 너비 우
2023년 04월 01일 토요일 오후 1시에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서울 지하 2층 (삼성역)에서 시작하는...아니 정확히는 입장하기 시작하여 훌륭한 개발자로 성장하라는 취지의 컨퍼런스가 열렸다.예정대로라면 오후 2시에 컨퍼런스가 시작되는 것이었지만, 준비 과정에 문제가
4개월이 지나고 나서야 쓰게 되는 후기이다.왜 이제서야 썼을까..? 라고 물어본다면,얼마전에 다녀온 구글 안드로이드 컨퍼런스에 다녀오고 나서 갑자기 생각났기 때문이다.(ㅋㅋㅋ)2022.11.26 프로그래머스 컨퍼런스에 신청하여 참여하게 되었다.오프닝은 미국에 계신 개발
개요Ripple Effect 샘플 프로젝트를 만들던 도중Background 속성 적용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했다.현상적용시키려고 했던 drawable의 코드는 아래와 같다.corners 태그는 먹히는 거 같은데 그 외에 stroke나 solid 같은색 변경 관련은 하나도
채널은 일종의 파이프라인이다. 채널을 열고 한쪽에서 값을 보내면 다른 쪽에서 수신하는 개념이다.기본적인 사용법은 간단하다.Channel<...>() 함수를 통해 생성할 수 있으며,데이터를 스트림에 밀어 넣을 땐 send, 스트림에서 받을 땐 receive 를 사용